'역학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14건

  1. 2013.10.13 지지 신유에 대하여
  2. 2013.10.13 지지 오미에 대하여
  3. 2013.10.13 지지 진사에 대하여
  4. 2013.10.13 지지 인묘에 대하여
  5. 2013.10.13 지지란 무엇인가?
  6. 2013.10.13 천간(天干)의 자의(字意:글자의 뜻)
  7. 2013.10.13 천간이란 무엇인가?
  8. 2013.10.06 상극이란?
  9. 2013.10.06 상생이란? 1
  10. 2013.10.06 오행의 의미와 뜻
posted by 치운 2013. 10. 13. 22:14

◈ 신(申) : 자의(字意)- 申은 만물의 성장을 억제하게 하고 영양분은 수축 응고하여 결실을 맺게 하는 것을 뜻한다. 申은 천지지기(天地之 氣)가 상통하달(上通下達)하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 金이고 양이며, 강금(剛金), 완금(頑金)이고 제련이 안 된 무쇠와 같다.

- 천간의 경(庚)과 같다.

- 음력 7월을 상징하고 절기로는 입추(立秋)이다.

- 초가을이다.

- 색깔은 백색(白色)이고 맛은 매운맛이며, 숫자는 4와 9이다.

- 방향은 서남쪽이다.

- 오장육부의 대장에 해당한다.

- 인체의 부위로는 경락, 폐, 오른쪽 어깨에 해당된다.

- 동물은 원숭이에 비유한다.

◈ 유(酉) : 자의(字意)- 酉는 오곡백과가 그 결실을 완료하여 열매의 형상 이 달처럼 둥근것을 나타낸다. 酉는 원구(圓球)의 상(象)과 달의 형상을 표시하였으니 여자의 생리변화의 현상을 나타낸다.

- 金이고 음이며, 제련되고 가공된 주옥과 보석이다.

- 천간의 신(辛)과 같다.

- 음력 8월을 상징하고 절기로는 백로(白露)이다.

- 가을 기운의 절정, 만물을 성숙하게 한다.

- 색깔은 백색(白色)이고 맛은 매운맛이며, 숫자는 4와 9이다.

- 방향은 정서쪽이다.

- 오장육부의 폐에 해당한다.

- 인체의 부위로는 정혈, 정낭, 난소, 소장, 오른쪽 갈비뼈에 해당된다.

- 동물은 닭에 비유한다.

'역학이야기 >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 자에 대하여  (0) 2013.10.14
지지 술해에 대하여  (0) 2013.10.14
지지 오미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 진사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 인묘에 대하여  (0) 2013.10.13
posted by 치운 2013. 10. 13. 22:13

◈ 오(午) : 자의(字意)- 午는 태양의 광선과 같은 형상을 상징하는 문자로 양극(陽極)하여 일음(一陰)이 시생(始生)함으로 음양이 교차함에 서로 놀라고 미워한다는 뜻을 가진다.

- 火이고 음이며, 타는 불이고 생화(生火)이며 등촛불이다.

- 천간의 정(丁)과 같다.

- 음력 5월을 상징하고 절기로는 망종(亡種)이다.

- 여름 기운의 절정이다.

- 색깔은 적색(赤色)이고 맛은 쓴맛이며, 숫자는 2와 7이다.

- 방향은 정남쪽이다.

- 오장육부의 심장에 해당한다.

- 인체의 부위로는 정신, 눈동자에 해당된다.

- 동물은 말에 비유한다.

◈ 미(未) : 자의(字意)- 미는 양(陽)이 유곡에 빠져 쇠잔하기 시작한 것으로 성장은 중지되고 결실을 하게 되며 지엽(枝葉)은 단풍이 들어 떨 어지고 수분(水分)은 하강한다.

- 土이고 음이며, 만물이 자생하기 어려운 건조한 조토(燥土)이다.

- 천간의 기(己)과 같다.

- 음력 6월을 상징하고 절기로는 소서(小暑)이다.

- 막바지 여름, 뜨거운 여름의 땅이다.

- 색깔은 황색(黃色)이고 맛은 단맛이며, 숫자는 5와 10이다.

- 방향은 서남쪽이다.

- 오장육부의 비장에 해당한다.

- 인체의 부위로는 등뼈인 척추에 해당된다.

- 동물은 양에 비유한다.

'역학이야기 >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 술해에 대하여  (0) 2013.10.14
지지 신유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 진사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 인묘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란 무엇인가?  (0) 2013.10.13
posted by 치운 2013. 10. 13. 22:10

◈ 진(辰) : 자의(字意)- 진은 만물이 기개(氣槪)를 펴고 발전기상을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 또 진은 만물이 정신이나 꽃을 피우는 데는 수 화기제(水火旣濟)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火의 승화작용에 필요 한 물을 공급함으로 변화와 발전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土이고 양이며 진흙과 같은 니토(泥土)이고 물을 잔뜩 머금고 있는 습 토이다.

- 천간의 무(戊)와 같다.

- 음력3월을 상징하고 절기로는 청명(淸明)이다.

- 늦봄이고 윤택한 봄의 땅이다.

- 색깔은 황색이고, 맛은 단맛이며, 숫자는 5와 10이다.

- 방향은 동남쪽이다.

- 오장육부의 위장에 해당한다.

- 인체의 부위로는 피부, 어깨, 가슴에 해당된다.

- 동물은 용(龍)에 비유한다.

◈ 사(사) : 자의(字意)- 사는 열기(熱氣)가 땅에 투사되어 지열(地熱)이 꿈 틀거리는 형상이 뱀의 움직임과 비슷하기 때문에 취한 글자이 다.

- 화이고 양이며 태양과 광선이고, 천지만물을 고루 비쳐 오곡백과를 자 생(自生)하게 한다.

- 천간의 병(丙)과 같다.

- 음력 4월을 상징하고 절기로는 입하(立夏)이다.

- 초여름, 만물을 퍼지게 한다.

- 색깔은 적색(赤色)이고, 맛은 쓴맛이며, 숫자는 2와7이다.

- 방향은 동남쪽이다.

- 오장육부의 소장에 해당한다.

- 인체의 부위로는 얼굴, 인후, 이에 해당된다.

- 동물은 뱀에 비유한다.

'역학이야기 >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 신유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 오미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 인묘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란 무엇인가?  (0) 2013.10.13
천간(天干)의 자의(字意:글자의 뜻)  (0) 2013.10.13
posted by 치운 2013. 10. 13. 22:09

지지의 자의, 기본성격, 음양오행 의미와 물상

◈ 인(寅) : 자의(字意)- 寅은 양기가 지표(地表)를 뚫고 올라오고 태아가 출 생하는 형상을 상징하는 글자이다.

寅은 태양이 떠오르는 동방여명을 상징한다.

- 목이고 양(陽)이며 동량의 재목이다.

- 뿌리가 없는 사목(死木)에 비유한다.

- 천간의 갑(甲)과 같다.

- 음력 정월을 상징하고 절기로는 입춘(立春)이다.

- 초봄의 기운, 만물을 활동하게 한다.

- 색깔은 청색(靑色)이고, 맛은 신맛이고, 숫자는 3과 8이다.

- 방향은 동북의 간방이다.

- 오장육부의 담낭에 해당한다.

- 인체의 부위로는 머리카락, 맥(脈), 왼쪽 대퇴부, 사지에 해당한다.

- 동물은 범에 비유한다.

◈ 묘(卯) : 자의(字意)- 卯는 모행이고 하여 만물이 땅위로 솟아 몰라 초목 이 싹터 오르며 두 줄기로 갈라지는 형상을 말한다.

일월(日月)이 출입하는 문호(門戶)나 밤낮이 갈라지는 춘분(春分) 이나 대문, 현관문이 묘에 해당한다.

- 목이고 음(陰)이며 살아있는 나무다. 음지에서 자라며 화초목(花草木), 양류목(楊柳木), 습목(濕木)에 해당한다.

- 천간의 을(乙)과 같다.

- 음력 2월을 상징하며 절기로는 경칩(驚蟄)이다.

- 봄기운의 절정, 만물의 땅위에 솟아나게 한다.

- 색깔은 청색(靑色)이고, 맛은 신맛이며, 숫자는 3과8이다.

- 방향은 정동쪽이다.

- 오장육부의 간에 해당한다.

- 인체의 부위로는 왼쪽 갈비뼈, 손가락에 해당된다.

- 동물은 토끼에 비유한다.

'역학이야기 >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 오미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 진사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란 무엇인가?  (0) 2013.10.13
천간(天干)의 자의(字意:글자의 뜻)  (0) 2013.10.13
천간이란 무엇인가?  (0) 2013.10.13
posted by 치운 2013. 10. 13. 22:06

지지란 무엇인가?

간(干)의 아래에 위치한 것이 지(支)라 하는데, 지(地)는 땅이요 땅은 하늘의 아래에 있으므로 천간 아래에 위치한다고 해서 지(地)를 붙여 지지(地支)라 한다.

지지(地支)는 그냥 지(支)라 약칭하는 바 지(支)는 나무에 비유하면 땅속에 박힌 뿌리(根)에 해당한다.

지지에는 열 두 개가 있으므로 십이지(十二支)라 한다. 지지 하나하나를 칭할 때는 지(支) 또는 지지(地支) 하지만, 열 두 개의 지(支)를 총칭할 때는 십이지(十二支)라 한다.

<< 지 지 (地支) >>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호랑이

토끼

원숭이

돼지

음력

1월

음력

2월

음력

3월

음력

4월

음력

5월

음력

6월

음력

7월

음력

8월

음력

9월

음력

10월

음력

11월

음력

12월

양목

(陽木)

음목

(陰木)

양토

(陽土)

양화

(陽火)

음화

(陰火)

음토

(陰土)

양금

(陽金)

음금

(陰金)

양토

(陽土)

양수

(陽水)

음수

(陰水)

음토

(陰土)

★ 진(辰)술(戌)축(丑)미(未)는 계절과 계절을 연결시켜주는 중재자의 토(土) 이다.

'역학이야기 >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 진사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 인묘에 대하여  (0) 2013.10.13
천간(天干)의 자의(字意:글자의 뜻)  (0) 2013.10.13
천간이란 무엇인가?  (0) 2013.10.13
상극이란?  (0) 2013.10.06
posted by 치운 2013. 10. 13. 22:03

천간(天干)의 자의(字意:글자의 뜻)

㉮ 갑(甲)은 봄철에 나무가 껍질을 터뜨리고 새싹이 솟아나는 것을 형상한 다. 갑자(甲子)는 하늘의 진리(眞理)를 펴는 것이 되며 용출, 투출,확장, 성장의 모습을 상징한다.

㉯ 을(乙)은 갑(甲)의 형상을 계승하여 초목(草木)이 싹터 뻗어 나갈 때 굴신 하는 모양을 형상한다. 만물(萬物)이 처음으로 그 형체를 세상에 드러내 는 어린 시절이다.

㉰ 병(丙)은 태양(太陽)이 이글이글 타오르며 만물이 훤하게 밝게 정체(正體 )를 드러내는 모양을 형상한다. 발산과 선양 등을 나타낸다.

㉱ 정(丁)은 만물이 성장하는 뜻을 가지며 병화(丙火)의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의 광선을 형상한다. 안광(眼光), 시력(視力)등에 해당하고 병(丙)을 태양이라면, 정화(丁火)는 별, 등촉불에 해당한다.

㉲ 무(戊)는 만물이 무성하게 성장하는 것을 뜻한다. 무토(戊土)는 화(火)의 무한 상승기운과 수(水)의 하강기운을 억제함으로 조절(調節), 조화작용을 통하여 통일과 저장을 맡는 것을 상징한다.

㉳ 기(己)는 만물의 성장이 완전하게 되어 외형적인 성물(成物)이 완성단계 에 이르렀음을 말한다. 무토(戊土)의 통일조화(統一調化)정신을 이어받아 중정(中正)과 구심(求心), 완성과 변화, 화합과 저장을 상징한다.

㉴ 경(庚)은 강경하여 만물이 결실, 수확, 수축, 응고, 고체화하여 내적으로 성물(成物), 완성하는 것을 형상한다. 또, 경(庚)은 성광과 광산, 상승과 분열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 신(辛)은 만물이 성장과 결실을 완성해서 모체(母體)로부터 떨어지는 사 별(死別)의 고통을 뜻한다.

㉶ 임(壬)은 회임(懷妊)인데 음양이 서로 교차하는 것이며, 생성의 일기(一期)가 끝마치는 것을 말한다. 양(陽)이 가장 짧은 동지절(冬至節)이 되면 음(陰)이 제일 길게 되는데, 음극양쇠(陰極陽衰)하는 때에 양이 시생(始生)하여 음양이 교차하고 신세계가 잉태하는 것이 임의 원리이다.

㉷ 계(癸)는 수왕(水旺)한 겨울에 양(陽)이 점점 자라서 새로운 세계가 성장 하고 있음을 말한다.

또 계는 음중지음(陰中之陰)으로 수축, 응고, 결빙에서 차차 양기가 태동 함을 뜻한다.

'역학이야기 >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 인묘에 대하여  (0) 2013.10.13
지지란 무엇인가?  (0) 2013.10.13
천간이란 무엇인가?  (0) 2013.10.13
상극이란?  (0) 2013.10.06
상생이란?  (1) 2013.10.06
posted by 치운 2013. 10. 13. 21:59

천간이란 무엇인가?

천(天)은 하늘이요, 하늘은 위에 있는 것이므로 간지(干支)가운데 위에 위치한 것을 천간이라 한다.

천간을 또 그냥 간(干)이라 약칭하는 바 간(干)은 간(干-줄기간)과 뜻으로 통하는 나무에 비유하면 지지(地支)는 천간의 아래에 위치하여 뿌리와 같고, 간(干)은 땅 위로 솟은 줄기와 같다.

천간에는 10개가 있으므로 십간(十干)이라고 한다. 천간 하나나나를 지칭할 때는 간(干)또는 천간(天干)이라 하고, 합칭할 때는 십간(十干)이라고 한다.

<< 천 간(天干)>>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큰나무

천둥

꽃,새

번개

태양

용광로

촛불

큰산,둑

 

땅,평지

 

쇠,별

보석

서리

큰바다

소낙비

비,계곡

이슬비

 

'역학이야기 >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란 무엇인가?  (0) 2013.10.13
천간(天干)의 자의(字意:글자의 뜻)  (0) 2013.10.13
상극이란?  (0) 2013.10.06
상생이란?  (1) 2013.10.06
오행의 의미와 뜻  (0) 2013.10.06
posted by 치운 2013. 10. 6. 07:09

상극이란?

서로 극한다. 생의 반대이며 억제를 의미한다. 오행으로 한 칸을 건너서 관계되는 것이다.

나무는 흙을 파 헤치고 흙 위에서 군림하며, 흙은 물을 머금고 흡수하여 버리며, 물은 불을 끄고 불을 관리하며, 불은 쇠붙이를 다스리고 연금하며, 쇠붙이는 나무를 자르고 관리한다. 단순히 형상으로 보이는 오행의 관계라고 할 수 없는 오묘한 것이나 우리가 이해를 거듭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풀이를 한다.

나무가 힘이 없고 자라지 못하면 물이 있어야 하고, 나무가 너무 많아서 관리하기가 힘이 들면 나무를 잘라야 하지 않겠는가? 이러한 이치가 부족하고 넘치는 부분이다. 조물주인 자연은 자연스럽게 그 형상을 만들어 놓았다.

겨울에는 불이 필요하도록 해 놓았고, 여름에는 물이 필요하도록 해 놓듯이 만물의 영장이라고 자부하는 인간이 그 자신을 잘 이해하고 파악하여 세상을 살아간다면 억지를 부리지 않고 영리하게 살아갈 수 있으니 이보다 더 나은 처세는 없으리라고 여긴다.

목극토(木剋土)

나무 뿌리는 흙을 파헤치니 목이 토를 극하는 상극 관계이다.

토극수(土克水)

땅은 물을 흡수하고, 바다에 방파제 둑을 세워 물의 흐름을 막으니 토가 수를 극하는 상극관계이다.

수극화(水剋火)

물로 불을 끄니 물이 불을 극하는 상극관계이다.

화극금(火克金)

용광로에 쇠를 녹여 그 형체를 잃으니 불이 금을 극하는 상극관계이다.

금극목(金克木)

도끼로 나무를 베니 금이 목을 극하는 상극관계이다.

'역학이야기 >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天干)의 자의(字意:글자의 뜻)  (0) 2013.10.13
천간이란 무엇인가?  (0) 2013.10.13
상생이란?  (1) 2013.10.06
오행의 의미와 뜻  (0) 2013.10.06
오행이란 무엇인가?  (0) 2013.10.06
posted by 치운 2013. 10. 6. 07:07

상생이란?

상생이란 서로 생하고 돕는 작용을 한다. 즉 생성과 육성을 의미한다.

오행상 바로 앞뒤에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상생이라고 한다. 나무는 불을 살리고, 불은 나무에 의해 유지를 하며, 불은 재를 만들어 대지를 기름지게 하고, 땅은 불로 인해 옥토가 되며, 땅속에서 금속이 생산되며, 광물 등 쇠붙이는 땅의 작용으로 단단해지며, 금속에서 물이 생성되고, 물은 수원지인 금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물은 나무를 키우고, 나무는 물을 먹고 자라는 것이 생의 관계이다.

사람도 저마다 왠지 호감이 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유도 없이 미운털이 박히거나 꼴도 보기 싫은 사람이 있다. 오행도 마찬가지다. 오행 간에는 서로 생(생)하는 것과 이기는(극하는) 것이 있다.

생하게 되면 도와주고 싶어서 안달하는 경우지만, 극하는 경우는 철천지 원수처럼 만나기만 해도 피곤해진다.

오행의 변화는 이 두 가지 작용으로 인해 무궁무진한 변화가 생긴다. 오행의 상생과 상극은 다섯 가지씩 모두 열 가지로, 역학에서는 아주 기본적인 것이므로 무조건 외워야 한다.

목생화(木生火)

나무가 불을 도와 자신을태우니 나무와 불은 서로상생 관계이다.

화생토(火生土)

불이 토지를 비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시골에서 겨울이 끝나면 땅에 불을 지르는 것도 토지를 비옥 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불과 흙은 서로 상생관계이다.

토생금(土生金)

보석, 석유 등 광물은 땅 속에 파묻혀 있으므로 광물과 땅은 서로 돕는 상생관계이다.

금생수(金生水)

금속, 돌이나 바위 밑에서 물(약수물)이 나오듯이 바위와 물은 서로 상생 관계이다.

수생목(水生木)

물이 나무를 성장시키거나 서로 상생의 관계이다.

'역학이야기 >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이란 무엇인가?  (0) 2013.10.13
상극이란?  (0) 2013.10.06
오행의 의미와 뜻  (0) 2013.10.06
오행이란 무엇인가?  (0) 2013.10.06
음양이란 무엇인가?  (0) 2013.10.06
posted by 치운 2013. 10. 6. 07:06

오행의 의미와 뜻

木 : 단순하게 나무가 아니고 목은 생명체를 대표하는 오행으로서 시작과 발생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유하고 부드러움을 말하며 봄을 의미한다.

火 : 불이라는 의미를 가진 화는 성장과 발전을 의미하며 어두움을 밝히듯이 인간의 마음을 밝히는 정신을 대표하고 예의를 말하고 여름을 의미한다.

土 : 대지를 말하는 토는 흙이라고 칭하며 어머니의 품속을 말하고 그 품에서 생명이 잉태하고 소중하게 가꾸어지고 믿음 속에 유지하듯 신의를 말하며 사계에 모두 속해 있다.

金 : 쇠붙이라고 하는 금은 추수를 하듯 갈무리를 말하고 곡식을 영글게 하기 위해 열기(熱氣)를 차단시키는 서리발과 칼처럼 냉정함을 말하고 의미를 대표하고 계절로는 가을이다.

水 : 음기(陰氣)를 대표하는 것으로 물을 상징하지만 물은 지상에 모이면 모두 하나가 되듯이 뭉치고 결합하고 모으는 것을 의미하고 저장하고 숨기는 것을 말하며 수증기부터 바다까지 흘러 다니며 세상의 만물을 느껴 익힌다고 하여 지혜를 말하고 겨울을 대표한다.

木火는 몸에서 여름으로 가는 기운으로 전체가 양의 성질을 갖고 있어 분열한다. 씨앗이 자라고 나무가 되는 이치가 양기의 분열 때문이다.

金水는 가을에서 겨울로 가는 기운이고 전체가 음의 성질을 갖고 있어 수축, 응고한다. 열매가 생기는 것은 양기를 모아 수축, 저장하려는 음기의 작용 때문이다.

'역학이야기 >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극이란?  (0) 2013.10.06
상생이란?  (1) 2013.10.06
오행이란 무엇인가?  (0) 2013.10.06
음양이란 무엇인가?  (0) 2013.10.06
팔자란 무엇인가?  (0) 2013.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