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치운 2013. 11. 19. 12:06

 

둔갑기문기초강좌 [3]

글쓴이 :   다선  茶扇.  

 

3. 홍국수포국(洪局數布局)

가. 간지반포국(干支兩盤布局)

(1) 홍국수

 

(2) 포국 해당하는 간지(干支)수를 천간(天干)은 천간끼리 지지(地支)는 지지끼리 모아 합하여 구(九)로 나누어 나머지 수(數)를 각각 중궁(中宮)에 넣는다.

나머지가 영(零)인 경우는 나눈 수 구(九)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천간인 甲 丙 戊 壬 4개수를 합하여 나누면 나머지는 영(零)이 되고 나눈 수 九를 중궁에 넣고 이궁(離宮)으로 나와서 역(逆)으로 포국(布局)하니 간국(干局)이 되고 이를 천반(天盤)이라 한다. 

다음은 지지(地支)인 子 寅 辰 戌 4개수를 합하여 나누면 나머지는 이(二)가 되고 이 나머지 二를 중궁에 넣고 감궁(坎宮)으로 나와서 순포(順布)하니 지국(支局)이 되고 이를 지반(地盤)이라 한다.

 이로서 지반은 주(主)가 되고 천반은 객(客)이 되어 생극왕쇠(生克旺衰)를 살펴 봄으로써 제 길흉(吉凶)을 판단한다.(예) 甲子 丙寅 戊辰 壬戌일 경우 (위의 홍국수도표 참조)

 천반포국은 갑(甲)1 병(丙)3 무(戊)5 임(壬)9에서  1+3+5+9=18, 18/9=2, 나머지가 0이니 나눈 수 9(九)를 중궁에 넣고 이궁으로 나가서 역포 시키고, 

지반포국은 자(子)1 인(寅)3 진(辰)5 술(戌)11에서  1+3+5+11=20, 20/9=2, 나머지가 2이니 나머지 2(二)를 중궁에 넣고 감궁으로 나가서 순포 시키면 구궁정위도의 흐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포국이 된다.    

 나머지 포국 또한 같은 방식을 따른다. 

나. 수리오행(數理五行)

구궁(九宮)에 간지반포국을 완료하였으면 이제 오행수(五行數)를 살펴보아야 한다.

각 궁에 배열된 수리 오행의 상생(相生) 상극(相剋) 거생(居生) 거극(居克)등을 근거로 길흉(吉凶)을 논하게 되는 것이다.

하도낙서(河圖洛書)에서 나온 수(數)의 오행(五行)은 一 六 水, 二 七 火, 三 八 木, 四 九 金, 五 十 土이다.

위에 예를 든 간지반 포국에서 수에 따르는 오행을 배치해 보면 다음과 같다.

                                                                   無師自解. 

<기문둔갑이론강좌>전체가기

'역학이야기 > 기문둔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둔갑기문기초강좌 [5]  (0) 2013.11.19
둔갑기문기초강좌 [4]  (0) 2013.11.17
둔갑기문기초강좌 [2]  (0) 2013.11.16
둔갑기문기초강좌 [1]  (0) 2013.11.16
육십갑자 와 부두<六十甲子와 符頭>  (0) 2013.11.15
posted by 치운 2013. 11. 19. 11:38

 

둔갑기문기초강좌 [5]

글쓴이 :   다선  茶扇. 

 

 5. 生氣福德八卦

생기팔괘는 中宮地盤數(중궁지반수)를 위주로 각 방위에 배치하며 陰陽遁(음양둔)에 관계치 않으

며, 生氣福德法(생기복덕법)은 八卦(팔괘)에 있어서 爻(효)의 변화에 따라 附(부)하므로 우선 卦象

(괘상)을 알아야 한다.                                        

                                                             八 卦

                                                

                                                             八卦와 吉凶 

一上生氣

二中天宜

三下絶體

四中遊魂

五上禍害

六中福德

七下絶命

八中歸魂

 

                                     八卦定位圖

巽下絶

離虛中

坤三絶

震下連

 

兌上絶

艮上連

坎中連

乾三連

生氣福德變化圖

絶體

絶命

福德

禍害

天宜

歸魂

遊魂

天宜

遊魂 

歸魂

禍害

福德

生氣

絶命

絶體

絶體

生氣

禍害

歸魂

絶命

遊魂

福德

天宜

歸魂

福德

天宜

絶命

四 五

遊魂

絶體

生氣

禍害

禍害

絶命

絶體

天宜

生氣

福德

歸魂

遊魂

遊魂

天宜

福德

絶命

歸魂

絶體

禍害

生氣

絶命

禍害

生氣

遊魂

絶體

歸魂

天宜

福德

福德

歸魂

遊魂

生氣

天宜

禍害

絶體

絶命

無師自解.

<기문둔갑이론강좌>전체가기

'역학이야기 > 기문둔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둔갑기문기초강좌 [3]  (0) 2013.11.19
둔갑기문기초강좌 [4]  (0) 2013.11.17
둔갑기문기초강좌 [2]  (0) 2013.11.16
둔갑기문기초강좌 [1]  (0) 2013.11.16
육십갑자 와 부두<六十甲子와 符頭>  (0) 2013.11.15
posted by 치운 2013. 11. 17. 11:51

둔갑기문기초강좌 [4]

글쓴이 :   다선  茶扇.  4. 八門

1. 八門의 명칭 : 生門(생문) 傷門(상문) 杜門(두문) 景門(경문) 死門(사문)

                         驚門(경문) 開門(개문) 休門(휴문)

2. 八門의 오행  

八門

生門

傷門

杜門

景門

死門

驚門

開門

休門

五行

3. 日家八門布局

일가팔문은 일진(日辰)이 각 궁에서 3일씩 머물면서 음양둔의 포국순서를 쫓아 이동하며, 음양둔(陰陽遁) 동일하게 艮宮에서 일어나 순행 또는 역행한다.

陽遁順行

陰遁逆行

 

 

 4. 實例(日家八門)

(예1) 甲子日 (陽遁)

(예2) 壬辰日 (陰遁)

杜門

景門

休門

開門

 

傷門

生門

死門

驚門

驚門

死門

生門

傷門

 

開門

休門

景門

杜門

5. 時家八門布局

時家八門定位圖

杜門

景門

死門

傷門

 

驚門

生門

休門

開門

6. 實例 (時家八門)

 陰遁 三局 時 日 月 年 庚 戊 丙 庚 申 申 戌 辰

 

奇儀布局

八門布局

 壬 乙 丁巳時

 戊 辛

 乙 己 己未時

 庚 戊 戊午時

 丙辰時 丙

 辛 驚門  甲寅時

 丁 壬

 癸 庚 庚申時

 己 丁 乙卯時

 壬 乙 生門

 戊 辛 傷門

 乙 己 杜門

 庚 戊 休門

 

 辛  癸 景門

 丁 壬 開門

 癸 庚 驚門

 己 丁 死門

          無師自解.

'역학이야기 > 기문둔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둔갑기문기초강좌 [3]  (0) 2013.11.19
둔갑기문기초강좌 [5]  (0) 2013.11.19
둔갑기문기초강좌 [2]  (0) 2013.11.16
둔갑기문기초강좌 [1]  (0) 2013.11.16
육십갑자 와 부두<六十甲子와 符頭>  (0) 2013.11.15
posted by 치운 2013. 11. 16. 11:37

둔갑기문기초강좌 [2]

글쓴이 :   다선
 茶扇.  


2. 기의포국(奇儀布局)


 가. 양둔(陽遁)과 음둔(陰遁)

양둔(陽遁)과 음둔(陰遁)은 일년중 음(陰)이 극에 이르러 처음 일양(一陽)이 시생(始生)하는 동지절(冬至節)로부터 양둔(陽遁)을 사용하여 순행(順行)하고 양(陽)이 극에 이르러 처음 일음(一陰)이 시생(始生)하는 하지절(夏至節)로부터 음둔(陰遁)을 사용하여 역행(逆行)한다.
둔갑포국은 모두 음양둔 18국(一十八局)이 성립된다.
동지 후 양둔구국(陽遁九局)
그리고 하지후 음둔구국(陰遁九局)
이다.

 나. 육의삼기(六儀三奇)

육의는 천간(天干)중 무기경신임계(戊己庚申壬癸)를 말하며 삼기는 역시 천간중 갑(甲)을 제외한 나머지 을병정(乙丙丁)을 말한다. 여기에서 열 개의 천간에서 갑(甲)을 사용하지 않기에 둔갑(遁甲)이라 이름한다.
(둔갑이 되는 이치는 연파조수가강좌를 참조)
 
 다. 기본포국(地盤布局)

양둔이면 육의(六儀)는 순행하고 삼기(三奇)는 역행하여 布하며, 음둔이면 육의는 역행하고 삼기는 순행을 하지만 戊 己 庚 辛 壬 癸 丁 丙 乙의 순서로 양둔순행 음둔역행으로 포국하면 된다. 예를 들면 양둔일국이면 감일궁에서 순행하고 음둔일궁이면 감일궁에서 역행하여 布한다.
양둔오국은 중궁에서 순포하고 음둔오국은 중궁에서 역포한다.



 나머지도 위의 예를 따라서 양둔은 순행, 음둔은 역행으로 포국하면 된다.

 라. 천지반(天地盤)

 육의삼기포국은 시간(時干)을 위주로 포국을 하므로 기본(地盤)포국의 기의(奇儀)중 시간(時干)이 있는 궁에 시부두(時符頭)를 옮기어 시간(時干)위에 올리고 음양둔에 관계없이 순서대로 옮겨가면 된다. 중궁(中宮)에 있는 시간과 시부두는 곤궁(坤宮)으로 나가서 동일한 방식으로 포국한다.

[旬首法]




                                   
          
 나머지 기의(奇儀) 역시 위의 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포국한다.

無師自解.


<기문둔갑이론강좌>전체가기

술사닷컴 www.soolsa.com
기문연구소 제공
 

posted by 치운 2013. 11. 16. 10:51

둔갑기문기초강좌 [1]

글쓴이 :   다선  茶扇.  

둔갑기문의 심오한 이치를 이해하려면 역과 술에 관련된 모든 분야의 지식이 우선 갖추어져야

한다. 주역은 물론이고 음양오행과 명리학, 풍수(堪輿), 역(曆) 그리고 육임(六壬)과 천문에

이르기까지 두루 꿰뚫고 있어야 하며 특히 장신법(藏身法)을 알고자 하면 수행은 필수적이다.

그리하여 옛사람들이 상통천문(上通天文) 하달지리(下達地理) 인사명리(人事命理)를

언급하였음이다. 그러나 단시일에 도달할 수는 없더라도 성심을 다하여 정진하면 천지(天地)의

이치가 나의 손안에 들어옴을 알 것이다.본 강좌에서는 일반명리에서 다루는 사주(四柱)를 산출하

기까지의 과정에 필요한 만세력 보는 법과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 그리고 오행생극제화(五行生

剋制化)의 이론과 주역의 팔괘(八卦)를 기본적으로 이해한 연후라 가정하고 강좌를 진행할 것이다.

구궁방위도

구궁수리도

東南

正南

南西

正東

中央

正西

北東

正北

北西

1. 구궁의정위(九宮定位)

. 구궁은 물론 하도의 상생(相生)과 낙서의 상극수리(相剋數理)에서 도출되었다.

     그리하여 각 방위에 따르는 각 궁의 수(數)가 정립되었다

        위의 구궁방위와 구궁수는 바탕이 되는 것이니 예를 들면 집을 짓기 위해 마련된

        토지와 같은 것이다. 앞으로는 이 각궁의 방위와 수는 기본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보고 가능한 표시를 생략할 것이다. 구궁수리도에서 각궁의 이동순서는 수(數)의 순서대로

        일(一)에서 구(九)로 또는 구(九)에서 일(一)로 흘러가는 것이다.

        즉 양둔과 음둔의 순서이기도 하다.

. 재차 구궁에 팔괘(八卦)와 십이지지(十二地支)그리고 오행(五行)를 배치하면

     변하지 않는 구궁정위도(九宮定位圖)가 구현된다. 

십이지정위

팔괘와 오행정위

辰巳

未申

巽(風)    木

 離(火)    火

坤(地)    土

 

震(雷)    木

中(土)    土

兌(澤)    金

丑寅

戌亥

艮(山)    土

坎(水)    水

乾(天)    金

. 구궁정위종합도(九宮定位綜合圖)

巽宮 南東 木  四綠 辰 巳 

離宮 正南 火  九紫  午 

坤宮 南西 土  二黑 未 申 

震宮 正東 木  三碧  

中宮 中央 土  五黃

兌宮 正西 金  七赤  酉 

艮宮 北東 土  八白 寅 丑

坎宮 正北 水  一白  

乾宮 北西 金  六白 亥 戌 

無師自解

기문연구소 제공

posted by 치운 2013. 11. 15. 12:23

            육십갑자 와 부두<六十甲子와 符頭>

符頭 戊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符頭 己

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符頭 庚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符頭 辛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符頭 壬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符頭 癸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천반구성은 양둔(陽遁)과 음둔(陰遁)의 구별없이 생시의 간지<干支>와 시의 순<旬>이 중요하다는 것

 

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예>.  서기 1946년 음력 2월 4일 巳 時生 <丙戌년 辛卯월 庚辰일 辛巳시>

 

                 양둔(陽遁) 경칩<驚蟄 >상원 1국

 

 

 

 

 

 

 

 

 

 

 

시간을 찾고 時의 순<旬>을 찾어서 符頭를 시간 상에 이부<移付>한다. 甲子 순<旬> 의 戊 ,

 

甲戌 순<旬>의 己를 말한다.

 

           위의 경우 시간 신<辛>은 손궁<巽宮>에 있다 .辛巳시는 甲戌 순<旬>에 소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甲戌 己를  辛 상에 이부<移付>한다. 

 

 己는 곤궁<坤宮>에 있으므로 2위를 움직여 붙여 나간다.

 

           이궁<離宮>乙字는 진궁천반<震宮天盤>이 되고, 손궁<巽宮> 辛字는 간궁<艮宮>의 천반이

 

 되며 진궁<震宮> 庚字는 감궁<坎宮>戊字상에 付되면 간궁<艮宮> 丙字는 건궁<乾宮>癸字상에 감궁<

 

坎宮> 戊字는 태궁<兌宮>丁字상에, 건궁<乾宮> 癸字는 곤궁<坤宮> 己字상에 태궁<兌宮>丁字는 이궁

 

<離宮> 乙字상에 각각 이부<移付>하여 천반을 구성한다.

        

        예>. 서기 1945년 음 7월 3일 丑시생 <乙酉년 甲申월 辛亥 일 己丑時 생>

 

 

 

 

 

 

 

 

 

 

 

 

 

 

 

 

 

 

 

 

 

 

 

                                          음둔(陰遁) 立秋 입추 상원 2국

 

時가 己丑이니 감궁<坎宮>에 있다.  己丑時는 甲申 순<旬>에 속하고 甲申 순<旬> 은 庚이다.

 

           庚은 이궁<離宮>에 있으니 庚이 감궁<坎宮>의 己 상에 이부<移 付>하게 된다.

 

즉 四位를 움직여 야 한다.

           

          예>. 서기 1968년 음력 7월 28일 亥時생 <戊申년 庚申월 癸亥일 癸亥時생>

 

 

 

 

 

 

 

 

 

 

 

 

 

 

 

 

                                             음둔(陰遁) 立秋 입추 하원 8국

 

시간<時干> 癸가 진궁<震宮>에 있고 癸亥時는 甲寅 순<旬>에 속하고 符頭  甲寅 癸를 시간<時干>

 

癸상에 이부<移 付>하게 된다. 그러면 이 경우는 같은 글자가 겹치게 되는데 이 경우를 복음격이라고 한

 

            

  예>. 서기 1959년 음 11월 29일 子時생<己亥년 丙子월 甲申일 甲子時생>

 

 

 

 

 

 

 

 

 

 

 

 

 

 

 

 

                                          양둔(陽遁) 冬至 동지 중원 7국

 

시간<時干> 甲일 경우는 어떻게 찾는가?

 

            甲子는 戊 를 찾고 甲戌은 己를 찾는다.  위의 경우 甲의 대용  戊 를 찾는다. 

 

 甲子시는 甲子 순<旬>에  속하니 符頭 가 戊이다.  그러한고로 戊위에 戊가 붙게 된다.

 

이 경우를 복음격이라고 한다.

 

           예>.  서기 1940년  음 4월 3일 유시생<庚辰년 辛巳월 壬子일 己酉時生>

          

 

 

 

 

 

 

己  丙

 

 

 

 

 

己  丙

 

 

 

 

 

 

                                                    양둔(陽遁) 立夏 입하 상원 4국

 

시간<時干> 이 중궁에 있는 경우는 출곤<出坤>하여 본다.

 

 중궁에 시간을 놓고 천반을 붙이면 회전할 수가 없으므로 중궁에 있는 것은 곤궁<坤宮>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국한다.

 

 예>. 서기 1960년 음 3월 26일 辰時생<庚子년 庚辰월 己卯일 戊辰時생>

        

 

 

 

 

 

 

戊 丁

 

 

 

 

 

 

 

 

 

 

 

                                             양둔(陽遁) 穀雨 곡우 상원 5국

 

중궁 戊를 출곤<出坤>하여 이부<移 付>한다. 시간<時干> 戊를 찾은후 符頭 가 甲子 순<旬>이니 甲子

 

 戊 가 된다. 戊위에 戊가 붇으니 복음격이 된다.

posted by 치운 2013. 11. 14. 11:01

                 기문둔갑 용어 해설 <태을구성>

  

   태을구성<太乙九星>

   태을<太乙>
   태을성<太乙星>은 오행상 수성<水星>으로 길성이다. 대표적 길흉은 귀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혼인과 출행에 길하다.

   길성중의 길성으로 모든 일에 길하다.

 
   섭제<攝提>
   오행상 곤궁<坤宮> 토성으로 흉성에 속한다. 대표적 길흉은 소란이 거듭 일어나고 퇴보하거나 사망하는 흉함이 있다.

   사문< 死門>과 동궁이면 크게 흉하며 비명<非命>이거나 곡성을 듣는다.  농사짓는 사람은 소가 상하는 기운이다.

   기문국이 흉국이면 재물을 얻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한다. 이 시기는 감추고 저장하는 데 사용하고 중상모략을

   당할 수 있어서 수양의 시기로도 본다.

 

    헌원<軒轅>
   오행상으로는 진궁<震宮> 목성<木星>이고 평성<平星>이다. 대표적 행위의 길흉은 도적이 일어서고 관재와 흉화의 일이   

   있다고 판단한다. 먼거리 여행은 어긋나기 쉽고 관재 구설 소요가 있으며 도모하던 일은 이루기 어렵다.

   상생되면 재난이 늦게 오고, 상극되면 흉함이 급히 온다.

 

   초요<招搖>
   오행상으로는 손궁< 巽宮> 목성<木星>이다. 피를 보는 싸움이 있고 모든 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싸우거나 음해의 일이 많고 잡안에 불안의 일이 생기며 일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어느 일도 되는 일이 없으니 상극되면 앞일이 막히고 흉인을 만나 음해<陰害>와 구설이 생기거나 사기나 도난을 당한다.   

   그러나  초요<招搖>가 상생지에 있으면 남을 누르고 투기적 방면에는 의외로 인기를 얻어 성사하는 수가 있다.


   천부<天符>
   오행은 토성<土星>으로 흉성이다. 대표적 길흉은 질액을 얻으며 구설과 일을 도모하기 어려운 흉함이 있다.

   숨은 여자의 모략에 빠지기 쉽거나 병액이 침노하기 쉬우며 관재구설이 엿보는 시기이다.

   초상집에 왕래하면 반드시 재화가 있고 식체나 주체로 고생할 수도 있고 경영에는 실패가 따르며 문서 매매에는 말썽이  

   발생하거나 수표거래 에 이용당할 수 있으니신중해야 한다. 단 전투와 관련된 일은 길하다고 본다.

 

   청룡<靑龍>
   건궁<乾宮>금성<金星>이며 길성<吉星>이다. 병자는 좋은 의사를 만나게 되고  큰 재산을 얻으며 일을 결정할 때 매우 길    

   하다고 본다. 청룡<靑龍>이 상생지에 있으면 큰 이득을 얻는다.

   함지<咸池>
   태궁<兌宮>으로 오행상 금<金>이며 대흉성<大凶星>이다. 관재 구설이 따르고 질병이 떠나지 않으며 상가집을 방문하는   

   일은 피해야 한다. 타인의 음모에 빠져 곤경을 치른다  또한 은밀히 도모하는 일은 발각되기도 하는 구성이다.

   재물을 구하는 일은 밑이 빠진 독에 물 붓는 형상이라고 본다. 함지는 관액을 주관하는 운이다.

   태음<太陰>
   간궁<艮宮>으로 오행상으로는 토<土>요 음<陰>의 도움을 받는 길성<吉星>이다. 대표적 길흉은 음인<陰人>의 도움으로  

   모든 일 에 이익이 있다.

   재물을 얻는데 길하고 이성이 따르는 경사도 있으며 전투에는 복병이 있으니 경솔하지 말아야 한다.

   천을<天乙>
   이궁<離宮>의 화성< 火星>이며 길성<吉星>이다. 재물을 구하는데 좋고 혼인하는 데도 길하다. 입신출세에는 더 없이 좋

   으니 일취월장한다.

  

posted by 치운 2013. 11. 14. 10:59

                  기문둔갑 용어 해설 <천봉구성>


    천봉구성<天逢九星>
    천봉<天蓬>
    천봉<天蓬>은 감궁<坎宮>에 위치한 사기 혼란을 주관하는 구성의 신<神>으로서 수성<水星>이며  대흉성이다.

    대표적 성정은 도둑 침체 불상을 뜻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관재 구설같은 흉사에 혼란을 일으키고 파국으로 몰아가는

    신이다. 천봉이 닿는 해에 하극상의 대란을 일으키고 분열을 일으키는 것으로 본다.

    기문국에서 재성이 수성<水星>이고 현무 휴문 천봉 역마가 동궁이되고 을경이 동궁이면 명주가 작첩하여 도주하는 사고     가 생긴다고 본다. 평생국에서 재성수가 1. 6수이면 화류계 출신의 부인이나 호색녀를 처로 보기도 한다.


    천임(天任)
    천임성(天任星)은 艮宮에 위치한 土星으로 선무 공덕 민첩 변화의 구성으로 천보와 천심과 함께 대길성이다.

    간괘<艮卦>가 소남<少男>을  뜻하며 양토의 기운을 가진다. 성정은 부실 소극 퇴겁 좌보라고 본다.

    천임이 토궁에 닿으면 본 자리에 앉아 기운을 얻게 되는데 재운이 길하고 만인을 이끄는 형세로 판단한다.

    천임성(天任星)은 기회포착,적응력이 뛰어 나다. 개혁 변동의 선두에 서서 나서는 일이 많아 상하좌우 로 움직이는 독불

    장군식의 격이되니 실패하는 경우도 많다.

 

    천충<天沖>
    천충성<天沖星>은 진궁<震宮>에 위치한 목성<木星>으로서 소길성<小吉星>에 속한다.

    살벌 구제의 구성으로 천주와 함께 소흉성으로도 분류한다.  대표적 성정은 무사의기질 말재주 기교로 본다.

    유년궁에 천충이 득령하면 천충의 흉함이 매우 심한 유년으로 해석하며 그 유년에 사망에 이르는 수도 있다.

 

    천보<天輔>
    천보성<天輔星>은 손궁<巽宮>에 위치한 목성<木星>으로 활인 융통의 구성으로 천심 천임과 더불어 대길성에 속한다.

    재주가 비범하고 귀인의 도움으로 일을 수월하게 해결한다.

    성정은 민 또는 초<草>이고 문아<文雅>하고 화순하다.

    

    천영<天英>
    천영<天英>은 남방 이궁<離宮>에 위치한 화성<火星>으로 일성 일망. 일승 일패의 구성으로 천주와 더불어 소흉성에 분     류한다.

    성정으로는 노치인<爐治人> 잔환<殘患> 우필<右弼> 정직이다. 이궁은 본래 문화의 궁으로 문장이 본분이므로 학문에 적합     한데 학문으로 빛날 수 있다. 시<時>를 잃으면 두서없이 뛰어 들다 망할 수도 있다. 응시나 문서, 계약 등의 일을 추진함에

    는 길하다.

 

    천예<天芮>

    천예성<天芮星>은 곤궁<坤宮>에 위치한 토성< 土星>이며 손재 도적 살상의 구성으로 천봉과 더불어 대흉성이다.

    대표적 성정은 고집 인내 악독이라고 본다.

   
    천주<天柱>
    천주성<天柱星>은 태궁<兌宮>에 위치한 金星이고 음모와 변절의 구성으로 천영과 더불어 소흉성으로 분류한다.

    대표적 성정을 보면 은사 수련 험난하고 활동적이나 그 정도가 지나치면 쾌락에 빠질 우려도 있다.

    그 결과 자멸하여 구렁텅이에 빠지는 경우가 많고 변절이 심하다.

 

    천심<天心>
    천심성<天心星>은 건궁<乾宮>의 금성< 金星>이고 강건 정직의 구성으로 천보 천임과 함께 대길성으로 본다.

    성정은 도<>를 깨치기 쉽고 명의<>와도 관련 된다. 숙살의 기가 강하고 과단 용맹한 면이 있다.

    득기 한다면 질병치로 제약에 길하다. 의술과 복술을 전담하는 구성이다.

    실기하면 수공업 손으로 먹고 사는 직업이 된다.

 

    천금<天禽>
    천금성<天禽星>은 中宮에 위치한 토성<土星>으로  징악 보상의 구성으로 천충과 함께 소길성으로 분류한다.

    성정은 야만 조악하다고 본다. 또한 정의력과 지배력이 강한 길성에 속한다. 천금성<天禽星>은 제사나 장례 등에 제한

    된 용사에 쓰인다.

 

posted by 치운 2013. 11. 14. 10:53

                              

                  기문둔갑 용어 해설 <팔문>

  

   팔문<八門>
   생문<生門>
   생문<生門>은 오행상으로 토<土의 성분에 속하고  방위로는 간<艮>궁 으로 축, 인<丑 寅>방에 위치한 길문이다.

   사계절로는 겨울이 끝나고 봄이 오는 상태이므로 아직은 어린 남자 아이 같이 의욕이 강하고 희망에 부풀어 활동하려는    기운이다. 생문<生門>이란 글자 뜻대로 생동하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주로 강한 생활력과 활동 혼인 출산 등을 의미한다. 호살지성의 특징이 있다. 팔괘<八卦>의 생기<生氣>와 동궁하고 있으    면 더욱 길하며 특히 의식주에 관계되는 일과 건강에는 좋은 방위이다.

   절명<絶命>과 동궁하고 있으면 생문<生門>으로서는 흉하지 않다.

   상문<(傷門>
   상문<(傷門>은 오행상으로 목<木>에 속하며 방위로는진<震>궁 동방에 해당한 흉문이다.

   사계절로는 2월이요, 봄이 도래하여 만물이 생동하는 시기이니 사람으로 말하면 장남궁에 해당 하여 이제 막 사회진출을    시작하는 때이므로 바쁘게 움직여야 하므로 상처를 받기도 하고 좌절하기도 쉬운 기운이다.

   즉 활동중에 정신적 고통이 있고 상심하고 신체를 손상하게 되어 투쟁,과 시비가 끊이지 않는다. 상문<(傷門>은 주로 사    고 질병 도적 재액 등을 대포하는 불길한 문이다. 팔괘<八卦>의 화해<禍害>와 동궁하게 되면 재난과 상처를 입는 등의 흉    한 의미가 된다.

   복덕<福德>과 동궁하고 있으면 상문<傷門>의 흉조가 약간은 약화되므로 흉은 사라진다.

   생기<生氣>와 동궁하면 생기<生氣>의 길조가 감소되어 작용하기 어렵다.

   두문<杜門>
   두문<杜門>은 오행상으로 목<木>에 속하며  방위로는 손<巽>궁 동남방에 위치한 반흉반길의 문<門>이다.

   사계절로는 3, 4월이므로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시기의 따뜻함을 의미하고 있다.

   시집가려 하는 장녀처럼 문을 닫고 차분히 준비하는 궁의 의미를 띠고 있다. 두문<杜門>의 특성은 담을 쌓고 은둔하여

   활동하지 않는 기운으로 두색불통 의 기운으로 사방이 막혀 대인관계가 절단되어 있고 숨어지내는 의미 이다.

   팔괘<八卦>의 유혼<遊魂>이 동궁하면 다시 일어나 활동을 하게 된다. 생기<生氣>와 동궁하면 생기<生氣>가 극을 당하게    되므로  흉하다. 귀혼<歸魂>과 동긍하면 본래의 의미가 강화 되므로 속세를 떠나 숨어 지내는 데에는 길하나 사회 활동을    하는 데에는 막힘이 많아 흉하다.

   경문<景門>
   경문<景門>은 오행상으로 화<火>에 속하고  방위로는 이<離>궁 남방에 위치하고 있는 평길<平吉>한 문<門>이다.

   사계절로는 5월이므로 한 여름이 되고 뜨거운 화기의 열정과 오락의 즐거운 분위기를 나타낸다.

   경문<景門>은 화합 문장 오락 화합 잔치 등을 의미하는 사교적이고 인기적인 문으로 두문<杜門>과는 반대되는 개념을 지    니고 있다.

   즉 경문은 희비애락의 문이니 자중해야 한다. 팔괘<八卦>의 복덕<福德>과 함께 있으면 재물과 주식<酒食>이 풍부하고

   활동적이어서 인기에 매우 길한 상이다. 경문<景門>이 감<坎>궁에 거하고 있으면 수극화<水剋火>되어 역량이 감소된다.

   사문<死門>
   사문<死門>은 오행상으로 토<土>에 속하며 방위로는 곤 <坤>궁  남서방에 위치한 흉문<凶門>이다.

   사계절로는 6, 7월이므로 가을의 초입이 되는 시기이므로 화기<火氣>와 금기<金氣>가 상교<相交>하여 왕성하던 만물이    숙살의 지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니 변화가 있고 또는 활동하다가 정지하는 것이므로 사람의 상으로는 활동력을 잃고 죽음    을 기다리는 노파를 의미한다.

   사문<死門>은 좌절과 실패 죽음 보수적 기질 등을 의미하니 만물이 죽음에 이르러 생기와 의욕이 저하되는 것므로 사망    의 문이라 할 수 있다. 사문<死門>이 팔괘<八卦>중 절명<絶命>과 동궁하면 대흉한 상이다.

   특히 해당 육친에게 흉함이 있는데 사문< 死門>이 북<坎>궁에 있어도 대흉하다.

   경문<驚門>
   경문<驚門>은 오행상으로 금<金>에 속하며 방위로는 태<兌>궁 서방에 위치하고 있는 흉문<凶門>으로 사계절로는 8월

   로 숙살의 기운인 금기<金氣>가 작용한다. 경문<驚門>은 성급함 독기 공포 소담의 달변가 허황된 생각 등을 나타냄으로       실패가 많다. 팔괘<八卦>의 유혼<遊魂>과 동궁하면 경문<驚門>의 흉한 점이 더욱 나타난다. 절체<絶體>와 동궁하면 흉    이 중해진다. 생기<生氣>와 동궁하여도 경문<驚門>의 단점이 약해 지지 않는다. 경문<驚門>이 이<離 >궁에 있으면 극을    받아서 오히려 좋아지는 것이 아니고 흉하게 된다.

   개문<開門>
   개문<開門>은 오행상 으로 금<金>에 속하며 방위적으로 건<乾>궁 서북방에 위치하고 있는 길문<吉門>이다.

   사계절로는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 9, 10월인데 결실을 거두고 새롭게 도약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팔괘<八卦>의 천의<天宜>와 동궁하면 생활의 환경이 풍요롭고 귀혼<歸魂>과 동궁하면 변동이 많아서 직업의 전환이 있    다. 관귀<官鬼>궁에 있으면 군자는 무해하고 소인은 해롭다.

   휴문<休門>
   휴문<休門>은 오행상으로 수<水>에 속하며 방위로는 북<坎>궁 자<子>방에 해당하고 있는 길문<吉門>이다.

   사계절로는 11월로 한 겨울의 양수<陽水>이므로 지혜와 안정됨 꼼꼼함 등을 나타낸다.

   겨울을 맞아 휴식하여 봄에 대비하여 준비를 갖춘다는 의미가 있다.

   평안한 기운으로 팔괘< 八卦>의 귀혼<歸魂>과 동궁하면 수구대신하는 상이다

posted by 치운 2013. 11. 12. 11:56

 

             

                               

                     기문둔갑 용어 해설 <팔괘>

    팔괘<八卦>
   생기<生氣>
   생기<生氣>는 팔문<八門>중에서 생문<生門>과 같은 의미를 지닌 자신감이 생겨 박력과 용기를 갖고 사회로 진출하려는 의욕과 생명력이 왕성한 길한 괘<卦>이다. 팔문<八門>중 생문<生門>과 휴문<休門>이 동궁하면 가장 길하고 두문<杜門> 이나 사문<死門>과 동궁하면 가장 흉하다.

   그리고 손<巽>궁이나 곤<坤>궁에 생기<生氣>가 있어도 불리하다. 감<坎>궁이나 태<兌>궁에 생기<生氣>가 있으면 길하다고 본다.

   천의<天宜>
   천의<天宜>는 팔문<八門>중 개문<開門>과 비슷한 의미를 지닌 괘이며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중화를 지키며 의술과    질병치료, 의약업 등의 활인업에 관계하는 길괘이다.


   절체<絶體>
   강하게 움직이려 하지만, 장애물이 있어 좌절하고 도중에 모든 일이 끊긴다는 흉괘로서 단절. 정지. 실패.  부상 등을 의    미한다. 모든 일을 마무리 짓고 결정해야 하는 순간에 이별이나 좌절 부상한다는 등의 우여곡절이 생는 괘이다.
   팔문<八門>의 경문<驚門>과 동궁하면 더욱 흉하다. 어느 육친에 같이 있던지 흉한 작용을 한다.

   유혼<遊魂>
   동분서주하는 즉흥적인 생각과 갑작스런 의욕이 생겨 바쁘게 움직이지만 신중하지 못해서 실리를 얻지 못하고 변화만 
많을뿐 실속이 없는 흉한 괘이다. 경거망동이 많고 출입이 빈번한 기운으로 팔문<八門>의 경문<驚門>과 동궁하게 되면    흉함이 더욱 크게 작용한다.
   유혼<遊魂>은 역마<驛馬> 지살<地殺>과 비슷한 것으로 세궁<世궁>에 있으면 평생 이동과 변화가 심하다. 하지만 길격    이면 오히려 왕성한 활동력으로 발전하게 된다.

   화해<禍害>
   움직이면 재액이 뒤따르는 흉괘로서 질병과 사고 등의 흉사가 암시된다.

   특히 관재구설과 횡액<橫厄>을 주관한다. 팔문<八門>의 상문<傷門>과 동궁하게 되면 그 화<禍>는 더욱 크게 작용한다.

   복덕<福德>
   활동력이 강하고 사교적이며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인기가 있어 인덕이 있는 길괘이다.

   연회하고 오락하며 즐기는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유도하는 괘로서 행운을 얻고 기쁜 일이 생기며 만사가 순통한다.

   절명<絶命>
   팔문<八門>의 사문<死門>과 비슷한 의미로 목숨이 끊어진다는 대흉괘이다. 하사<何事>도 불통하고 절망하며 좌절과 의욕 상실을 주관하는 기운이다.

   부상이나 수술하는 재액 등을 받기 쉽다. 사문<死門>과 동궁하면 더욱 흉한 작용을 한다.

   귀혼<歸魂>
   길을 떠난 사람이 집으로 되돌아 오고 일을 하던자가 쉬고자 하고 활동하다가 정지되는 등 본래의 상태로 후퇴하는 흉괘이다. 현재의 상황에서 탈피하여 숨어 지내는 은둔의 괘이기도 하다.

   팔괘<八卦>의 두문<杜門>과 동궁하면 이런 의미는 더욱 크게 작용한다. 관성궁에 두문<杜門>과 귀혼<歸魂>이 같이 있으면 성격이 내성적이고 소극적이며 혼자 있기를 좋아한다.

   신수국<身數局>에서 세궁<世宮>이나 월궁<月宮>에 귀혼<歸魂>이 있으면, 조상의 묘를 손질하는 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