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치운 2015. 6. 22. 21:48

1. 계속비 수정안

(백만원)

구 분

 

총사업비

계속비 연부액

2014까지

2015

2016

2017

2018

2019

 

 

 

 

 

 

 

 

 

<국토교통부>

 

 

 

 

 

 

 

 

 

 

 

 

 

 

 

 

 

지역간선국도 3차건설

정부안

3,375,451

3,255,930

119,521

-

-

-

-

 

수정안

3,381,451

3,255,930

125,521

-

-

-

-

 

 

 

 

 

 

 

 

 

지역간선국도 4차건설

정부안

2,744,848

2,562,319

182,529

-

-

-

-

 

수정안

2,744,848

2,562,319

182,529

-

-

-

-

 

 

 

 

 

 

 

 

 

지역간선국도 5차건설

정부안

4,515,819

3,832,433

618,825

64,561

-

-

-

 

수정안

4,515,819

3,832,433

628,825

54,561

-

-

-

 

 

 

 

 

 

 

 

 

물류간선 1차건설

정부안

3,296,846

2,817,830

179,547

159,953

139,516

-

-

 

수정안

3,296,846

2,817,830

179,547

159,953

139,516

-

-

 

 

 

 

 

 

 

 

 

지역간선국도 6차건설

정부안

2,203,797

1,163,124

348,846

449,259

242,568

-

-

 

수정안

2,203,797

1,163,124

355,846

449,259

235,568

-

-

 

 

 

 

 

 

 

 

 

지역간선국도 7차건설

정부안

1,732,243

1,009,610

302,539

220,093

200,001

-

-

 

수정안

1,732,243

1,009,610

309,539

220,093

193,001

-

-

 

 

 

 

 

 

 

 

 

지역간선국도 8차건설

정부안

1,971,868

451,500

301,530

444,338

493,697

280,803

-

 

수정안

1,971,868

451,500

301,530

444,338

493,697

280,803

-

 

 

 

 

 

 

 

 

 

동홍천-양양 고속도로

정부안

339,063

-

141,587

130,000

67,476

-

-

 

수정안

339,063

-

141,587

130,000

67,476

-

-

 

 

 

 

 

 

 

 

 

성남-여주 복선전철

정부안

1,457,500

910,000

383,300

164,200

-

-

-

 

수정안

1,457,500

910,000

393,300

154,200

-

-

-

 

 

 

 

 

 

 

 

 

진주-광양 복선전철

정부안

750,800

510,000

200,000

40,800

-

-

-

 

수정안

750,800

510,000

200,000

40,800

-

-

-

 

 

 

 

 

 

 

 

 

익산-대야 복선전철

정부안

310,209

-

93,000

72,403

72,403

72,403

-

 

수정안

310,209

-

93,000

72,403

72,403

72,403

-

 

 

 

 

 

 

 

 

 

군장산단 인입철도

정부안

434,824

-

130,400

101,475

101,475

101,474

-

 

수정안

434,824

-

130,400

101,475

101,475

101,474

-

 

 

 

 

 

 

 

 

 

울산신항 인입철도

정부안

192,415

-

30,000

32,483

32,483

48,725

48,724

 

수정안

192,415

-

30,000

32,483

32,483

48,725

48,724

 

 

 

 

 

 

 

 

 

포항영일만 신항 인입철도

정부안

139,784

-

42,000

32,595

32,595

32,594

-

 

수정안

139,784

-

42,000

32,595

32,595

32,594

-

 

 

 

 

 

 

 

 

 

원주-강릉 복선전철

정부안

2,420,574

-

920,000

830,000

630,000

40,574

-

 

수정안

2,420,574

-

920,000

830,000

630,000

40,574

-

 

 

 

 

 

 

 

 

 

용산-문산 복선전철

정부안

997,960

983,425

14,535

-

-

-

-

 

수정안

997,960

983,425

14,535

-

-

-

-

 

 

 

 

 

 

 

 

 

수원-인천 복선전철

정부안

1,062,277

675,000

149,520

150,000

87,757

-

-

 

수정안

1,062,277

675,000

149,520

150,000

87,757

-

-

 

 

 

 

 

 

 

 

 

합계

정부안

27,946,278

18,171,171

4,157,679

2,892,160

2,099,971

576,573

48,724

 

수정안

27,952,278

18,171,171

4,197,679

2,872,160

2,085,971

576,573

48,724

 

posted by 치운 2015. 6. 21. 23:33

() 희망사다리장학금 창업지원제도(신규)

희망사다리장학금 창업지원제도는 창조경제 활성화와 청년실업문제 장기화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학생 창업지원을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창업을 준비하는 대학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5년도 예산안은 등록금 및 창업준비장려금으로 204,000만원을 신규계상함.

2015년도 예산안의 산출근거를 보면, 2014년도 대학생 창업관심자 150,0002013년도 대학생 창업성공률 0.67%인 약 1,000명을 2014년 대학생 예상 창업자 수로 추계하여 2015년도는 그 중 400명을 선발 대상으로 동 사업을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음.

창업지원사업은 고용노동부, 문화관광체육부, 중소기업청, 지역자치단체 등 각 정부기관에서 창업교육, 창업관련 경진대회, 창업관련 사업화 지원, 창업 자금 및 융자 지원 등 총 34가지의 다양한 유형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다른 기관의 지원사업 중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의 안정적 학업유지를 위한 등록금 지원제도가 없어 희망사다리장학금을 취업유형, 창업유형으로 나누어 지원하려는 것임.

< 정부의 창업지원 사업 유형별 현황 >

유형

소관 부처

사 업 명

비 고

 

 

 

1

중소기업청

대학창업교육패키지사업

 

2

고용노동부

창조캠퍼스

 

3

중소기업청

창업대학원지원

 

4

중소기업청

기술창업아카데미

 

5

서울특별시

하이서울 창업스쿨

 

6

중소기업청

창업선도대학

 

7

중소기업청

대학 창업 강좌

 

8

중소기업청

창업동아리지원

 

9

중소기업청

기술창업학교

 

10

문화관광체육부

뉴미디어창업스쿨

 

11

지식경제부

MOT사업

 

12

중소기업청

대한민국벤처창업대전

 

13

중소기업청선도대학

대한민국 실전창업리그

 

14

고용노동부

소셜벤처경연대회

 

15

중소기업청

예비기술창업자육성

 

16

중소기업청

창업보육센터

 

17

중소기업청

선도벤쳐기업 기술창업지원사업

 

18

중소기업청

유망특허활용기술창업지원사업

 

19

중소기업청

청년창업사관학교

 

20

고용노동부

청년창직·창업인턴제

 

21

서울특별시

청년창업1000 창업프로젝트

 

22

충청남도

청년CEO500프로젝트

 

23

강원도

청년창업프로젝트

 

24

대전광역시

대학창업300프로젝트

 

25

경상북도

경북청년창업지원사업

 

경기도

 

26

G창업프로젝트

27

중소기업청

예비기술창업자 육성

 

/

28

서울특별시

2030청년창업 프로젝트

 

29

중소기업청

창업선도대학육성사업

 

30

중소기업청

비즈쿨지원사업

 

31

중소기업청

기술창업기업특해보증

 

32

중소기업청

청년창업특해보증

 

 

33

중소기업청

Strat-up ⅠⅡⅢ 보증

34

중소기업청

창업기업지원자금(융자)

 

* 자료: 한국장학재단

 

동 사업은 대학의 창업동아리 회원과 창업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등록금 전액과 매 학기당 창업준비장려금 200만원을 지원하고 매 학기당 창업교육 수강, 창업박람회 및 창업연수 참가 등 40시간의 창업기초교육을 이수하여야 하며 졸업 후 수혜기간 동안 의무창업(연간 매출 1,200만원 이상)을 하되 숙박업 및 음식업 등 생계형 창업은 제외하고 있음. 한편, 동 사업의 수혜를 받은 자가 의무창업을 하지 않거나 의무창업을 하였다가 폐업을 하게 되면 수혜기간 동안 받은 등록금 및 창업준비장려금을 전부 또는 일부를 환수하도록 하고 있음.

2013년 중소기업청이 1인 창조기업의 창업시 애로사항에 대하여 조사한 바에 따르면, 1순위가 자금조달, 2순위가 판로개척, 3순위가 사업타당성이고 그 외에 사무실 및 작업공간 확보와 행정절차 등이 있으며, 2014년 대학생 창업관심자가 15만명으로 추정되고 이중 실제 대학생 창업자는 1,005(0.67%)으로 창업이 매우 힘든 것을 알 수 있음.

< 2013년 중소기업청 1인 창조기업실태조사: 창업시 애로사항 >

(단위: , %)

구 분

사업체수

자금조달

판로개척

사업타당성분석

비고

제조업

54,805

53.1

22.6

5.0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

4,636

39.8

23.1

6.5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14,912

46.8

22.4

7.2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

8,077

50.1

18.7

5.5

 

교육서비스업

587

56.3

15.7

4.2

 

예술,스포츠,여가관련서비스업

2,992

51.2

10.5

7.4

 

* 자료: 중소기업청

 

 

이와 같이 대학생이 창업하기에는 많은 애로사항이 있고 이러한 어려운 경로를 거쳐 창업을 하더라도 자금이 부족한 대학생이 폐업을 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폐업할 경우 의무창업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대학생의 등록금 및 창업준비장려금의 일부를 환수하고 있어 대학생은 이중고에 시달리게 되고 창업 시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이 있을 경우는 신용불량자를 양성할 수도 있음.

교육부는 동 사업과 관련하여 창업동아리 대학생의 의견 청취(10월 예정), LINC 선정대학 및 창업선도대학 창업지원센터 담당자와의 간담회 개최(10월 예정), 창업지원제도 관련 정책연구(11월 결과보고) 등을 거쳐 2014년도 12월에 희망사다리장학사업 창업지원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음.

한편, 동 예산은 2015년도 예산 요구안 작성 시에는 편성되지 않았다가 9월 중순에 갑자기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점, 10월 현재까지 장학생 지원금액만이 확정되었을 뿐, 지원자격, 선발기준, 창업기초교육 방법, 창업박람회 및 창업연수 참가 시 이수시간은 몇 시간 부여할 것인지 등 구체적인 계획이 없는 상황에서 대학생에게 장학금이 지급되는 시점이 대학교에 등록금을 납부하는 시점과 동일하다고 생각할 때 늦어도 20152월에는 장학생 선발을 완료하여야 하므로 사업을 준비하기에 촉박한 일정임.

동 사업의 특성상 장학생 선발 공고 후 시행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업의 미비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사업시행이란 것이 창업대상자의 선발부터 창업기초교육, 창업준비장려금 지급, 그리고 향후 졸업 시 다른 기관과의 창업지원 연계까지 연속성 있게 추진되어야 함을 고려할 때 사업추진시점에 면밀하게 준비하여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고 사회 초년생인 대학생의 창업 실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창업기초교육에 내실화를 기하고 졸업 후 창업지원기관과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창업자금부족으로 창업희망이 꺾이지 않도록 동 사업을 추진하여야 할 것임.

posted by 치운 2015. 6. 21. 23:24

(5)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연(계속)

2015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연(2433-301)사업 예산안은 3022,500만원으로, 20142925,000만원 대비 97,500만원이 증액계상됨.

< 2015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연 예산안 >

(단위: 백만원)

구 분

2013결산

2014예산

(A)

2015예산안

(B)

증 감

(B-A)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연

28,640

29,250

30,225

975

3.3

 

* 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육기관의 강사료를 기타직 보수로 이관하여 편성

한국학대학원사업은 한국학 분야의 이론을 탐구하고 민족문화 발전에 기여할 국내외 한국학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사업으로 2015년도 예산안 179,400만원으로 전년대비 72,000만원이 증액계상됨. 주요 증액내역은 한국학진흥방안에서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72,000만원의 이관으로 인함.

한국학대학원 석박사학위과정은 인문학부, 문화예술학부, 사회과학부, 국제한국학부, 융합한국학부 등 5개 학부, 17개 전공 총 정원 145명의 석박사를 양성하는 과정으로 2015년 예산안은 전년과 동일한 66,500만원이 계상되어 있음.

< 2014년도 한국학대학원 학부 및 전공 현황 >

과 정

학 부

전 공

인원

 

 

 

석사

(2)

인문학부

한국사학, 고문헌관리학, 철학, 국어학국문학

35

문화예술학부

인류학민속학, 종교학, 음악학, 미술사학,

인문정보학

사회과학부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윤리학, 교육학

국제한국학부

한국문화학

(가칭)융합한국학부

비교한국학, 고전번역학

5개 학부

17개 전공

35

박사

(3)

인문학부

한국사학, 고문헌관리학, 철학, 국어학국문학

25

문화예술학부

인류학민속학, 종교학, 음악학, 미술사학,

인문정보학

사회과학부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윤리학, 교육학

(가칭)융합한국학부

비교한국학, 고전번역학

4개 학부

16개 전공

25

* 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운영비는 일반수용비 32,752만원, 국내여비 156만원, 국외업무여비 500만원, 연구장려금 2220만원, 자산취득비 2,100만원, 사업추진비 9,800만원, 공공요금 및 제세 972만원 총 66,500만원임.

일반수용비 주요 내역은 강좌운영 및 강사료 19,440만원, 학위논문지도수당 2,800만원, 신입생 모집 2,763만원, 일반학사운영 1,878만원, 강사 4대 보험 기관 부담금 500만원 등으로 편성되어 있으나, 강사료 9,450만원과 강사 4대 보험기관 부담금 500만원은 한국학대학원의 시간강사 인건비임.

< 2014년 대학원 운영비 중 일반수용비 내역 현황 >

··세항·

비목

산출내역

산출액

(단위: 천원)

사업비 -

 

한국학대학원사업 -

 

한국학연구인재양성 -

 

학위과정운영

 

  

665,000

일반수용비

 

 

327,520

1.

강좌운영/강사료

194,400

2.

학위논문지도수당

28,000

3.

내국인신입생 모집 입학전형

5,800

4.

외국인신입생 모집 입학전형

9,000

5.

논문제출자격시험

800

6.

학부 운영

7,200

7.

기숙사 운영

1,800

8.

신입생모집

27,632

9.

일반학사운영

18,788

10.

기숙사 운영

5,100

11.

동아리 지원

2,000

12.

한국학대학원 고객만족도 조사

15,500

13.

강의용품 구입

1,000

14.

강사 4대 보험 기관 부담금

5,000

15.

동문회 홈페이지 유지보수

500

16.

교육자료 구입비

5,000

 

* 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년도 예산안 편성 세부지침에 따르면 교육훈련기관의 강사료는 기본경비 또는 사업비의 기타직 보수(110-02)로 편성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한국학대학원의 시간강사료 9,450만원과 강사 4대 보험기관 부담금 500만원을 기타직 보수로 편성하여야 할 것임.

< 2015년 시간강사 예산안 편성 현황 >

구분

2014

2015년 예산안

 

 

 

일반강좌:

5강좌×3시간×80,000×15×2학기 = 36백만원

영어강좌:

4강좌×3시간×125,000×15×2학기 = 45백만원

한문강좌:

1강좌×6시간×80,000×15×2학기 = 14.4백만원

시간강사 4대보험 부담금

2,500천원×2학기 = 5백만원

일반강좌:

10강좌×3시간×80,000×15×2학기 = 72백만원

영어강좌:

2강좌×3시간×125,000×15×2학기 = 22.5백만원

 

 

 

시간강사 4대보험 부담금

2,500천원×2학기 = 5백만원

합계 : 100.4백만원

합계 : 99.5백만원

* 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 졸업생 초청 연수교육 사업의 재검토 필요

해외한국학장학금지원사업은 한국 전문가를 양성하여 한국학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자 해외 거주 한국학 전공 외국인 학생의 우수 논문을 선정하여 장려금을 지원함으로써 한국학에 대한 계속적인 관심을 유도하고 향후 한국학대학원으로 진학하도록 연계하는 한편, 한국학 전공 외국인 학생을 초청하여 한국학의 전반에 대한 교육연구 지원을 통해 잠재된 해외 한국학자를 발굴하는 사업으로 차세대한국학자 초청 연구지원사업, 한국학분야 우수논문 공모 사업, 한국학대학원 졸업생초청 연수교육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한국학대학원 졸업생 초청 연수교육 사업은 해외에서 한국학 교육 및 연구활동에 종사하는 한국학대학원 졸업생을 초청하여 연수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졸업생의 재교육 및 해외 한국학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자 2013년부터 시작한 사업으로 신청자격은 한중연 한국학대학원 석사 또는 박사 졸업생(내국인 또는 외국인)으로서 해외에서 한국학 관련 교육 및 연구 등에 종사하는 자임.

2013년도는 중국 2, 한국 1, 몽골 1명 총 4명 신청하여 2(중국 2)이 선발되었고, 2014년도는 4월에 1차 모집을 시행하여 2명이 지원하였으나 지원자 본인 의사에 따리 지원을 철회하였고 신청자격을 완화하여 5월에 2차 추가 모집을 진행하여 1명이 지원하였으나 자격요건이 부적합하여 불합격 처리함.

< 연도별 졸업생 초청 연수 교육 지원자 및 선발 세부내역 >

연도

성명

국적

성별

현 직장/직책

희망기간

비 고

2013

○○

중국

중국광서사범대학교

외국어대학한국학교원

6개월

선발

2013

○○

중국

중국천진사범대학교

외국어학원한국학과강사

3개월

선발

2014

(1)

○○

중국

연변대학교 교수

2개월

지원 철회

2014

(1)

○○

중국

연변대학교 교수

2개월

지원 철회

2014

(2)

○○

우즈베키스탄

프리랜스 번역가

7개월

요건 부적격으로 불합격 처리

 

* 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년도 2차 추가 모집은 한국학 관련 교육 및 연구 기관에 재직 중인 졸업생들이 기관 사정상 수개월간의 안식년을 허가받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고려하여 신청자격을 기관에 재직하지 않은 프리랜서 연구자라도 지원을 가능하게 하고 지원자의 일정에 따라 연구기간을 융통성 있게 선택할 수 있도록 모집공고를 변경하였으나, 1차 모집보다 신청자가 감소한 1명만이 지원하여 동 사업이 존폐위기에 놓여 있음.

< 2014학년도 졸업생 초청 연수교육 모집공고 변경내역 >

연번

구분

변경 전(1차 모집 시)

변경 후(2차 모집 시)

비고

1

모집

기한

2014. 4. 10.

2014. 5. 30.

 

2

신청

자격

해외에서 한국학 관련 교육 및 연구 기관에 재직 중인 자

해외에서 한국학 관련 교육 및 연구 등에 종사하는 자

프리랜서 연구자도 지원 가능

3

지원

기간

2014. 6. 1.부터 2014. 12. 31. 사이 최대 6개월

201412월 이전에 연구개시하여 최대 6개월

연구기간을 융통성있게 선택

 

* 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동 사업은 신청대상인 한중연 한국학대학원 석사 또는 박사 졸업생(내국인 918, 외국인 264) 1,182명 중 해외에서 한국학 관련 교육 및 연구 등에 종사하는 자가 얼마나 있는지, 교육기관에 종사하는지 아니면 연구기관에 종사하는지, 만약 한중연 대학원에서 초청할 경우 국내에 체류하면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자가 몇 명이 있을지 등 초청 대상자에 대한 면밀한 조사 없이 사업을 추진함에 따라 신청자 부족으로 사업이 존폐위기에 놓여 있는 실정이고 2015년도 또한 사업이 계속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동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거나 본 사업의 주축인 차세대 한국학자 초청 연구지원 사업에 집중하여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