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어
․.烏…「아a)」(상고음기층의고구려한자음
「斯」의상고음기층의고구려한자음소릿값을「獐項口縣 一云
古斯也忽次」항에서「(sɐ」로추정하였다(최남희200:109).
「烏斯」은결국「아(asɐ」가되므로「猪」의고구려어를「아
」로읽을수밖에없다 그러나통시적으로우리말어디에도「猪
=아」의반영이없다 그래서「烏」를「鳥」의오기로생각하는
견해12)도검토해볼필요가있다 왜냐하면고려때간행한향
약구급방에「橡實:猪矣栗」, 「蝟皮:高參猪」등이있는데 이는
‘도톨밤’을「도밤」으로 ‘고슴도치’를「고돝」으로표기한것
이다 즉고려때에도「猪」를「돋」또는「돝」으로표기한것으
로보아 고대국어시절에도이와비슷한어휘가쓰였을가능성
이있기때문이다 「鳥」의소릿값을추정해보자
「鳥」의상고음은「端幽」로성모端/t-/는「ㄷt)」로반영되고
운부幽/-ə/는/-ioɡ -iˆoɡ -eə, iə, -iu/ 등으로재구하였다
핵모-ə는운미음-u와결부되어「오u)」로반영되므로 상고
음기층의고구려한자음은「도tu)」로추정한다
중고음은「端篠」로效섭의개구4등상성에속한다 성모端
/t-/는「ㄷt)」로반영되고 운모篠/-ieu/는/-ieu, -iɛ, -ieu,
-ieu/ 등으로재구하였다 핵모-e-는운미음-u와결부되어「오
(u)」로실현되고 여기에개모-i-가결합되어 중고음기층의
고구려한자음은「됴tiu)」로반영되었을것으로추정한다
․鳥…「도tu)」(상고음기층의고구려한자음
「烏」를「鳥」의오기로보면「鳥斯」는「도(tu-sɐ」가된다
즉‘猪’의고구려어를「도」로생각할수있다. 고대국어시절
부터발생한폐음절화현상에의하여어말모음이탈락하면 끝
소리「ㅅ」은「ㄷ」에중화되어고려때이미「돋」이쓰인것으로
추정한다
․.烏…「아a)」(상고음기층의고구려한자음
「斯」의상고음기층의고구려한자음소릿값을「獐項口縣 一云
古斯也忽次」항에서「(sɐ」로추정하였다(최남희200:109).
「烏斯」은결국「아(asɐ」가되므로「猪」의고구려어를「아
」로읽을수밖에없다 그러나통시적으로우리말어디에도「猪
=아」의반영이없다 그래서「烏」를「鳥」의오기로생각하는
견해12)도검토해볼필요가있다 왜냐하면고려때간행한향
약구급방에「橡實:猪矣栗」, 「蝟皮:高參猪」등이있는데 이는
‘도톨밤’을「도밤」으로 ‘고슴도치’를「고돝」으로표기한것
이다 즉고려때에도「猪」를「돋」또는「돝」으로표기한것으
로보아 고대국어시절에도이와비슷한어휘가쓰였을가능성
이있기때문이다 「鳥」의소릿값을추정해보자
「鳥」의상고음은「端幽」로성모端/t-/는「ㄷt)」로반영되고
운부幽/-ə/는/-ioɡ -iˆoɡ -eə, iə, -iu/ 등으로재구하였다
핵모-ə는운미음-u와결부되어「오u)」로반영되므로 상고
음기층의고구려한자음은「도tu)」로추정한다
중고음은「端篠」로效섭의개구4등상성에속한다 성모端
/t-/는「ㄷt)」로반영되고 운모篠/-ieu/는/-ieu, -iɛ, -ieu,
-ieu/ 등으로재구하였다 핵모-e-는운미음-u와결부되어「오
(u)」로실현되고 여기에개모-i-가결합되어 중고음기층의
고구려한자음은「됴tiu)」로반영되었을것으로추정한다
․鳥…「도tu)」(상고음기층의고구려한자음
「烏」를「鳥」의오기로보면「鳥斯」는「도(tu-sɐ」가된다
즉‘猪’의고구려어를「도」로생각할수있다. 고대국어시절
부터발생한폐음절화현상에의하여어말모음이탈락하면 끝
소리「ㅅ」은「ㄷ」에중화되어고려때이미「돋」이쓰인것으로
추정한다
'언어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밀어와 한국어는 연관성을 가지는 가? (0) | 2013.12.15 |
---|---|
알타이어족 한국어의 특질 (0) | 2013.11.28 |
한국어의 계통을 찾아서 (0) | 2013.10.30 |
한글과 모양이 같은(비슷한) 지구상 문자. (1) | 2013.10.29 |
한글에 관한 여러 이설 (0) | 2013.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