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치운 2013. 12. 4. 15:30

홍산(紅山)문화의 후예: 범 “선비-퉁구스” 역사-문화 공동체 
 
 
꽃잎.낙엽 퍼옴 lczhu77@hotmail.com
 
 
 
한반도를 포함하는 범 만주『선비-퉁구스』 역사-문화 공동체는 요서의 신석기 홍산(紅山, 4000-3000 BC)문화를 공유하고, 빗살무늬-민무늬 토기, 고인돌, 비파형 동검 등의 전통을 공유한다. 알타이계통 언어권의 홍산문화는 한장(漢藏) 언어권의 앙소-용산 문화와 전혀 다르다. 중국대륙 정복왕조 5개 중 4개가 바로 『선비-퉁구스』족 출신이었다. 중국 고고학회 상임 이사장인 곽대순(郭大順)은 고대 연(燕, 1027-222 BC)나라 문화의 근원을 하가점(夏家店)하층(下層) 문화(2000-1500 BC)에서 찾을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같은 지역의 홍산문화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말한다. 초원지대와의 접촉을 통해 새로 출현한 유목문화가 전파되면서, 하층문화가 본격적 청동기인 상층문화 형태로 전환되었다. 하가점 상층문화(1100-300 BC)는 요하 유역에 이르면서 유목민적 사회, 정착-농경 사회, 국가 수준의 사회 등, 다양한 요소들을 융합했고, 한반도로 전파되면서 『선비-퉁구스』 역사-문화 공동체 전역에 청동기시대를 전개했다. 기원전 400년경, 연나라는 한반도에 철기문화를 전파했다. Janhunen은 연나라가 애당초 (漢族의) 중국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고 말한다. Di Cosmo는 소위 연 장성(長城)이라고 부르는 유적지에서 발굴된 유물은 한족과 전혀 관련이 없다고 말한다. 사기(史記)는, 서주의 무왕(武王)이 소공(召公)을 북연(北燕)에 봉해주었다며, 남연(南燕)이 있었을 것이라는 주석을 달았다. 4세기 후반과 5세기 초에 걸쳐 등장한 전연(前燕), 후연, 서연, 남연, 북연 중 유독 「북연」만을 한족(漢族 馮氏)이 세웠고, 나머지는 모조리 모용 선비(慕容 鮮卑)족이 세웠다. 홍산-하가점 문화를 이어 받은 연나라는 소공의 북연이 아니었을 것이다. 고대 연나라의 성격이 분명하게 밝혀져야 할 것이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 1. Barnes (1993: 135)
 
홍산문화와 『선비-퉁구스』 원시 알타이 언어 공동체

정복왕조의 본고장 만주


洪 元 卓 (서울대 교수)

흉노족의 본고장인 몽골 초원

몽골초원은, 돌궐(터키)족의 선조이며 아마도 몽골족의 선조일 가능성도 있는 흉노의 본고장이다. Fagan (2004: 201)은 “초원지대는 마치 펌프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비가 충분히 올 때는 목초와 가축들이 잘 자라 유목민들을 흡수하지만, 가뭄이 계속될 때는 이 유목민들을 주변지역이나, 이웃나라로 내몰게 된다. 기원전 9세기경, 초원지대의 기후가 갑자기 춥고 건조해졌는데, 몽골고원의 목초지가 제일 먼저 이러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았다. 기원전 8세기경, 가뭄이 초원지역 유목민들을 중국대륙으로 내몰았다. 그들은 한족에게 격퇴되었고, 연쇄반응적인 민족이동이 일어나, 일부 기마(騎馬)유목민들은 당시 켈트족 세상이었던 유럽의 동부 변경인 다뉴브강 유역에까지 몰려가게 되었다.” 1

몽골고원은 대 유라시아 초원지대의 동반부를 구성하며, 만주의 서쪽 경계로부터 시작하는 초원은 군데군데 높은 산들에 의해 단절이 되기도 하면서 헝가리 평원에까지 도달한다. 언뜻 보면 알타이산맥과 천산산맥이 서로 만나서 유라시아 대초원을 절단하는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타르바가타이의 이밀강(江) 주변에 커다란 틈새가 있어, 초원들이 계속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천산산맥의 북쪽 끝자락과 타르바가타이 준령 사이의 중가르 관문은 카자크 초원지대로 통하는 중앙아시아의 최남단 통로이다. 알타이산과 타르바가타이 사이의 이르티쉬 계곡 역시 서쪽으로 가는 통로가 된다. 몽골고원의 돌궐-몽골 기병들은, 바이칼호(湖)로 흘러 들어가는 오르콘 강둑에서 출발하여 카자흐스탄과 러시아의 초원을 거쳐, 헝가리 평원에 이르기까지 계속 달려갈 수 있었다. 이 초원의 통로는 타클라마칸 사막을 건너, “세계의 지붕”이라는 파밀고원을 넘어가는 천산산맥 남쪽의 실크로드와는 전혀 성격이 다른 교통로 이었던 것이다.
 
발카쉬호(湖) 서쪽의 (터어키쉬) 초원지대는 평균 고도가 해수면에 가깝지만, 몽골 초원은 평균 해발 1500미터로, 한 여름에는 기온이 섭씨 38도까지 올라가고 한 겨울에는 영하 42도까지 내려간다. 고비는 건조한 초원지대로, 내몽골과 외몽골을 가른다. 북쪽의 목초지는 바이칼호와 흑룡강 상류로 흘러 들어가는 작은 강들의 유역과 알타이산맥의 동쪽 경사지로 구성되어있다. 알타이지역은 여름의 한낮에는 섭씨 40도를 상회하며, 일조량이 18시간에 달한다. 바이칼호 주변지역은 몽골 초원지대가 시베리아 삼림지역으로 바뀌는 접경지대에 해당된다. 황하(黃河)에 의해 말편자 모양으로 둘러싸인 오르도스 평원에 접하면서, 남쪽의 대마군산(大馬群山), 서쪽의 만주 등을 경계로 하는 내몽골도 수많은 유목민들을 부양하였다. 2 돌궐-몽골 족들은 양고기를 주식으로 했고, 염소, 낙타, 소, 말, 등을 길렀다.

    
 
▲ 2. Barnes (1993: 109)
 
선비-퉁구스 족의 본고장인 만주대륙

만주는, 북으로는 대흥안령(大興安嶺)산맥, 남으로는 칠노도(七老圖)-연산(燕山) 산맥 등을 경계로, 몽골초원과 분리된다. 샤라무렌강(西拉木倫)-노합하(老哈河) 유역으로부터 서요하(西遼河) 유역에 걸쳐 만주 서부의 목초지대가 펼쳐지는데, 이 지역은 대흥안령산맥의 동쪽 기슭과 눌루얼후(努魯兒虎) 산맥에 의해 둘러 쌓여 있다. 여기가 바로 동후(東胡)라 칭하는 선비족의 본고장인데, 문화적으로는 몽골에 가까웠다.

송화강 유역의 평원지대는, 동쪽의 울창한 삼림을 보면서 시베리아 끝자락으로부터 한반도 북변 산악지대까지 내려가는 도중, 남서쪽의 요하(遼河)유역 평원과 연결되어, 소위 동북평원을 형성한다. 만주의 중부 평야와 동부 산림지역에 살던 이른바 동이(東夷)족들은 돼지고기를 먹었다. 돌궐말로 돼지를 “통구즈”라 부른다는 사실을 근거로 “퉁구스”의 어원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많은데, Janhunen(1996: 221)에 의하면, 이는 언어학적 타당성이 결여된 접근방법이다.

홍산문화-하가점(夏家店) 하층(下層)문화- 하가점 상층문화

신석기 홍산(紅山)문화(4000-3000 BC)의 유적은 요서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3 홍산문화는 황하(黃河)중류-위수(渭水) 유역의 앙소(仰韶)문화와, 황하 하류 유역의 용산(龍山)문화를 일으킨 종족들과는 전혀 다른 종족들이 이룩한 문화이다.  홍산문화의 유물로는 각종 의례용 도구를 포함하여, 점토로 빚은 인체조형물, 옥으로 만든 동물형상, 염료를 칠한 통형관(筒型管) 등이 발견되었고, 쟁기를 사용하는 농경전통과 양과 돼지를 포함해 가축들을 길렀다는 증거가 나타난다. 땅을 파고 지은 수혈식(竪穴式) 움집과 함께 저장고, 불을 때는 화로 등도 발견되며, “Z”자 모양의 문양, 빗살 문양, 칼끝으로 판 문양으로 장식된 적색 혹은 회색의 (회전판 위에서 완성된) 사질성(沙質性) 토기와 채색토기 및 토기제조용 가마, 수수를 수확할 때 쓰는 조개로 만든 칼 등이 발견된다. 뿐만 아니라, 종교의식과 제사를 행했던 공공건물 흔적이 발견되는데, 이를 보면 사회적으로 계층 분화가 이루어진 복잡한 사회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중국본토 문화유적의 조각품들을 보면 다분히 추상적으로 정형화 되었지만, 홍산문화의 조각품들은 아주 구체적이고 현실적 모양을 하고 있다.

홍산문화는 즐문(櫛紋)-인각(印刻)문 토기를 계속 사용하면서도 반지, 칼, 손잡이 등과 같이 소형 동제품을 사용하는 초기 청동기 하가점 하층문화(2000-1500 BC)로 이어진다. 4 Barnes(1993: 109)에 의하면, 사해(査海), 홍산, 신락(新樂)문화의 산물인 즐문(櫛紋) 토기는 한반도의 빗살무늬 토기와 유사하며, 중국본토의 신석기 토기 형태와는 상당히 거리가 멀다고 말한다. 이 지역 사람들은 수수를 심고, 가축을 기르고, 사슴을 사냥하며 살았다.

중국 고고학회 상임 이사장인 곽대순(郭大順, Nelson, 1995: 148-9)은 옛 연나라 (燕, c. 1027?-222 BC) 문화의 근원을 하가점 하층문화에서 찾았으며, 궁극적으로는 홍산문화에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곽대순(1995: 179)에 의하면 하가점 하층문화의 일부는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나라 문화를 일으켰고, 일부는 그 자리에 남아 연나라 문화의 근원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는 하가점 하층문화를 (서주-동주 시대) 연(燕)문화의 전 단계로 이해한다면, 실제 역사적 사실에 가까워진다고 생각한다.

    
 
▲ 2. Pottery with Incised Designs
excavated at Xin-le 新樂
 
곽대순(1995: 178)에 의하면, 연나라 문화와 하가점 하층문화 사이에는 과도기적인 연계성이 존재한다. 하가점 하층의 채색토기에 그려진 동물 가면 문양은, 그 출현시점이 매우 이르고, 상당히 발전된 형태이었다. 상(商)나라 도철(??-전설상의 흉악하고 탐식하는 야수) 문양의 근원이 된 이 괴물 문양의 전통은, 전국시대 말기인 기원전 300년경까지, 연나라에 존속 되었었다고 말한다. 곽대순은, 서주(西周, 1122-771 BC)시대의 연나라는, 주나라와는 크게 다른 자신만의 독특한 문화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하가점 하층문화 유적에서 출토된 신탁(神託) 갑골(甲骨)에 이미 연(燕)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원시 연나라는 상(商, 1766-1122 BC)나라 때 이미 존재해 있었고, 그 문화적 전통이 서주 시대의 연나라에 이어져 보존되었다고 주장한다.

    
 
▲ 3. Sherds of Comb-Patterned (Chul-mun) Pottery from the Han River Basin Area (Am-sa-dong)
 
유목민 생활 형태는 기원전 1000년경 알타이와 천산 산맥 주변지역에서 출현하여 소위 알타익-스키타이 시대를 전개했다. 스키토-사이베리안 사람들의 초기 유목문화는, 특히 기원전 6세기 이후에는, 장례 때 매장된 청동과 철제 무기류, 기마용 도구, 동물 형상의 공예품, 금과 보석 등 부장품의 존재로 특징지어진다. 몽골고원 초원지대로부터 새로운 유목문화의 도래는, 기원전 3세기경, 인종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스키토-사이베리안과 전혀 다른 집단인 흉노제국의 팽창과 함께 일어난다. 5

Barnes(1993: 157-8)는, 하가점 상층유적지에서 발견된, 말을 탄 사람과 달리는 토끼를 그려 넣은 동제품이 (비록 기마전투가 공식적으로 기록된 것은 기원전 484년이지만) 동아시아에서의 기마전통 출현을 증명하는 최초의 물증이라고 말한다. 6 Barnes는 하가점 상층문화 발생시기를 전후로 유목문화가 등장했고, 이 새로 생긴 유목문화의 전파가 하가점 하층문화(2000-1500 BC)를 상층문화(1100-300 BC) 형태로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말한다.

    
 
▲ 3. Sherds of Comb-Patterned (Chul-mun) Pottery from the Han River Basin Area (Am-sa-dong)
 
Barnes(1993: 153)는, 홍산문화 시대에 이미 그 흔적을 보인 청동기는, 같은 지역의 하가점 상층문화 시기에 와서 아주 본격적으로 다양한 품목들을 보여주게 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서아시아의 스키타이 유물과 유사한 동물문양의 청동제품들이 발굴되는 것으로 보아, 하가점 상층문화는 유라시안 초원지대와의 접촉을 통해 유목민들과 문화적 전통을 공유하게 되었으며, 이 상층문화가 한반도로 전파되면서 기원전 700년경부터 한반도에 본격적 청동기시대를 연 것으로 보았다. Barnes는 또, 고대 연나라가 남부만주 요하 유역으로 진출하면서, 유목민적 사회, 정착-농경 사회, 국가 수준의 사회 등, 다양한 요소들을 문화적으로 융합했고, 기원전 400년경에 한반도에 철기시대를 전개시키는 역할을 수행했다고 말한다.

빗살-민무늬 토기, 비파형-세형 동검, 북방형-남방형 고인돌

기원전 1300년경 까지는 요동과 요서 지역의 청동검들이 칼날과 손잡이가 분명하게 분리가 되어있지 않았다. 7 그러나 하가점 상층 유적지에서 발굴된 비파형 동검은, 한족들이 만든 동검과 달리, 칼날과 손잡이가 따로 주조되었다. 한반도의 비파형 동검은 하가점 상층문화에서 유래하며, 후에 세형동검으로 바뀌어 철기시대 초까지 사용된다. 하가점 상층에서는 하층과 달리 민무늬 토기가 발견된다. 8 한바도를 비롯한 만주의 여타 지역에서는 민무늬 토기가 대략 기원전 2000년경부터 사용이 되었는데, 하가점 상층문화는 뒤늦게 (곽대순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요하 유역방향으로부터 민무늬 토기 사용자들의 영향을 받게 된 것 같다. 9

원시 알타이계통 언어를 사용하는 범 “선비-퉁구스” 역사-문화 공동체 전체를 연결시키는 또 하나의 특이한 유물은 고인돌이다. 고인돌은 요동지방에서 많이 발견되고, 길림성 지역에서도 발견되지만, 밀집된 형태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지역은 한반도이다. 북방형 고인돌은 빗살무늬 토기시대 말기쯤 나타난 것으로 보이고, 남방형 고인돌은 청동기 말기쯤 나타난 것 같으나, 이 두 형태의 고인돌은 그 분포지역이 상당히 중복된다. 고인돌의 축조는 기원전 300년경에 중단된 것으로 생각된다.10

돌을 사용하는 매장 방법, 토기의 형태, 청동제품 등의 유사성은 만주를 몽골고원과 바이칼 주변지역으로 연결시킨다. Di Cosmo(2002: 67)에 의하면, 하가점 하층으로부터 상층으로 전환되는 과정의 실상은 하가점 상층문화와 북쪽의 몽골고원과 바이칼 주변지역 사이의 연관성이 완전히 구명될 때까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을 것이다. 흑룡강, 눈(嫩)강, 송화강, 요하 등을 연결하는 만주대륙의 물길(水路)이 이들 전 지역에 철 제조 확산 과정을 포함하는 천연의 교통로 역할을 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Nelson(1995: 252, 14)에 의하면, 동북지역에서 청동 제품이 상당히 일찍 발견되는데, 특히 요서지역에서 출토되는 청동 제품들이 중원의 앙소문화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이유가 전혀 없으며, 상나라가 한창 전성기를 구가할 때 조차도 동북지역의 문화를 중원문화의 어설프고 야만적인 표절로 간주하는 것은 큰 잘못이다. Nelson은 홍산문화는 중원의 문화와 분명히 다르며, 단지 그들이 문자가 없었다는 사실을 제외하고서는 중원문화에 결코 뒤질 것이 없다고 말한다.

소공(召公)의 북연(北燕, 1027 BC), 한족(漢族 馮氏)의 북연(409-36), 선비족(慕容 鮮卑)의 남연(南燕)

사기(史記)에 의하면, 서주의 무왕(武王)은 소공에게 북연(北燕)이라고 부르는 지역을 봉해주었고 (c. 1027-1025 BC), 그가 연 나라의 시조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사기의 각주(註)에는, 이 봉토에 속하지 않는 또 다른 연나라, 즉, 남연(南燕)이 존재 할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1 소공의 연나라 수도는 오늘날 북경의 서남쪽에 위치해 있었다. 연나라가 진시황제에게 멸망되기 90년 전인 기원전 311년, 연은 진개(秦開)를 시켜 동호(東胡=鮮卑)를 공격하고, 동북방으로 영역을 대폭 넓혔다 한다. 12 한 고조(r. 206-195 BC)는 자신의 오랜 친구인 노관을 연왕으로 봉했는데, 노관은 후에 흉노한테 도피를 했고, 흉노는 그를 동호왕으로 임명했다. 연나라에 관한 기록에 “동호”가 자주 등장한다는 사실은, 사기 각주에 나타난 남연이라는 존재, 후세에 선비족들이 나라를 세울 때마다 국명을 “연”이라 부른 사실, 한족들한테는 모반을 한 자들로 보이는 공손연 (237년), 안록산 (756년), 사사명 (759년) 등이 한족과 차별성을 내세울 때 자신들을 연왕이라고 불렀던 사실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Janhunen(1996: 224)은, 고대의 연나라는 애당초 중국적인 요소를 갖고 있지 않았으며, 원시 투르코-몽골족이 바로 초창기의 연나라를 구성한 종족이라고 생각한다.

원시 알타이계통 언어를 구사하는 선비-퉁구스 역사-문화 공동체는 모두가 빗살무늬-민무늬 토기, 고인돌, 비파형 동검 등의 옛 전통을 공유하며 홍산문화와 연결이 되어있다. 따라서, 한족을 앙소문화의 후예라고 말 한다면, 선비-퉁구스족은 홍산문화의 후예라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13 중국대륙의 앙소-용산 문화와 전혀 다른, 요서의 신석기 홍산문화 유산의 상속-전승자는 만주대륙-한반도-일본열도 전체를 포괄하는 범“선비-퉁구스” 계통의 역사-문화 공동체이다. 중국대륙 정복왕조 5개 중 4개가 바로 알타이계통 언어를 사용하는 “선비-퉁구스”족 출신이었던 것이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1-5 (2005. 1. 22.)
정리: 강현사 박사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목민족 설명  (0) 2013.12.04
우르 (Ur)  (0) 2013.12.04
훈족은 투르크 아닌 몽골계  (0) 2013.12.04
오리엔트 수학 : 실용적인 산술과 측량  (0) 2013.11.28
바빌로니아와 이집트 수학  (0) 201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