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임학(六壬學)이란.. |
육임학의 기초
합. 충. 형. 해. 파 (合. 沖. 刑. 害. 破)
합. 충. 형. 해. 파 (合. 沖. 刑. 害. 破)란?
합(合) : 기운이 서로 모이는 것.
충(沖) : 싸우고 깨지고 흩어지는 것
형(刑) : 싸우는 것
해(害) : 해로움을 주는 것
파(破) : 깨지는 것
1. 합(合)
1>. 간합(干合)
갑 (甲). 기(己) : 중정합(中正合) 이라고 한다. 토(土)기운으로 변한다.
을 (乙). 경(庚) : 인의합(人儀合) 이라고 한다. 금(金)기운으로 변한다.
병 (丙). 신(辛) : 귄위의 합(權威 合)이라고 한다. 수(水)기운으로 변한다.
정 (丁). 임(壬) : 유정지합(有情之合)이라고 한다. 목(木)기운으로 변한다.
무 (戊). 계(癸) : 무정지합(無情之合)이라고 한다. 화(火)기운으로 변한다.
2>. 지합(지합)
자(子). 축(丑) : 토(土)기운으로 변한다.
인(寅). 해(亥) : 목(木)기운으로 변한다.
묘(卯). 술(戌) : 화(火)기운으로 변한다.
사(巳). 신(申) : 수(水)기운으로 변한다.
오(午). 미(未) : 일월(日月)합으로 불변하다.
3>. 삼합(三合)
해(亥), 묘(卯), 미(未) : 목(木)기운으로 변한다.
인(寅), 오(午), 술(戌) : 화(火)기운으로 변한다.
사(巳), 유(酉), 축(丑) : 금(金)기운으로 변한다.
신(申), 자(子), 진(辰) : 수(水)기운으로 변한다
4>. 합 (合) 길흉(吉凶
충합(沖合) : 먼저는 합하고 뒤에 떨어진다.
형합(刑合) : 화합하는 중에 서로 다툼이나 견제가 있다.
해합(害合) : 합한후에 서로 저해(沮害)가 있다.
파합(破合) : 좋은 척하고 속으로는 시기하고 해(害)하는 것.
공망합(空亡合) : 먼저는 좋고 나중에는 나쁘다.
5>. 지충(支沖)
자(子), 오(午) 충 : 동분서주하고, 남녀가 서로 다투고 계획은 변하여 부실하여 지는 것이다.
묘(卯), 유(酉) 충 : 일월의 충으로서 움직임이 많고 문호(門戶)가 열린다고 본다.
인(寅), 신(申) 충 : 도로의 신(神)으로서 잡귀발동하고 부부간에 서로 딴 마음이 생긴다.
사(巳), 해(亥) 충 : 묘당(廟堂)의 궁(宮)이다.
진(辰), 술(戌) 충 : 천옥(天獄)의 지(地)이다.
축(丑), 미(未) 충 : 천주(天廚)의 곳이다.
충의 작용 : 일간(奇宮)을 충하면 또는 일간상신을 충하면 신변에 동요가 생긴다.
일지(日支)나 일지상신을 충하면 가정에 불안과 동요가 생긴다.
년지(年支)나 월지(月支),를 충하면 매사가 막히거나 변동하여 진다.
6>. 형(刑)
형은 상처를 입거나 다치는 것을 말한다.
지지(地支)이 네 번째(4위)가 형이 된다.
인사(寅巳), 사신(巳申), 축술(丑戌), 미술(未戌)은 지형(支刑)이고
자묘(자묘)는 호형(互刑),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는 자형(自刑)이 된다.
형의 작용 : 가>. 지형(支刑)이 삼전(三傳)에 들고 일(日)에 임(臨)하면 반드시 파상사(破傷事)가 일어난다.
나>. 호형(互刑)은 무례(無禮)하고 음탕하며 가정은 정도(正道)가 없다.
다>. 자형(自刑)은 실패를 하고 어떤일도 순서나 앞뒤가 없다.
7>. 해(害)
지지(地支)육위째가 육해(六害)가 되는 것이다.
자(子), 미(未)
축(丑), 오(午)
인(寅), 사(巳),
묘(卯), 진(辰),
유(酉), 술(戌)
신(申), 해(亥)
해(害)의 작용
가>. 육해(六害)가 일간에 임(臨)하고 삼전(三傳)에 있으면 사물은 방해가 있다.
나>. 육해(六害)는 화합하는 기운이 없으므로 현 상황을 지키는 것이 좋고 움직이면 스스로 손해를 초래한다.
8>.
지지(地支) 4위째가 파(破)가된다.
자(子), 유(酉),
축(丑), 진(辰),
인(寅), 해(亥)
묘(卯), 오(午)
사(巳), 신(申),
미(未), 술(戌)
파(破)의 작용
가>. 파(破) 가 일간상(日干上)에 임(臨)하고 삼전(三傳)에 입하면 흉사는 흩어지고 길사는 좋지 않다
나>. 파(破) 가 있으면 일의 성사가 불가능하다.
다>. 파(破)에 충이 겹치면 사람의 뜻에 어긋나는 일이 있고 혼인은 성립하여도 끝내는 파(破)한다.
라). 파(破)가 공망이 되면 실체가 없는 것이 된다.
마>. 년명상에 파(破)가 있으면 하사(何事)도 손상사(損傷事)가 일어난다.
왕상휴수(旺相休囚)
|
|
왕 |
상 |
휴 |
수 |
춘(春), 목(木) |
목(木) , 인묘진(寅卯辰) |
화(火) ,사오미(巳午未) |
수(水) ,해자축(亥子丑) |
금(金) ,신유술(申酉戌) | |
하(夏), 화(火) |
화(火) 사오미(巳午未) |
토(토) 진술축미(辰戌丑未) |
목(木) ,인묘(寅卯) |
수(水), 해자(亥子) | |
추(秋), 금(金) |
금(金), 신유(申酉) |
수(水), 해자(亥子) |
토(土) 진술축미(辰戌丑未) |
화(火), 사오(巳午) | |
동(冬), 수(水) |
수(水),해자(亥子) |
목(木), 인묘(寅卯) |
금(金), 신유(申酉) |
토(土) 진술축미(辰戌丑未) |
위의 표에서 보듯이
목(木)은 보에 힘이 있고 목(木)이 생(生)하는 화(火) 역시 힘이 강다.
수(水)는 봄철에 목(木)을 생하는라 힘이 빠져 약하여 있다.
목(木)이 왕성한 봄에 금(金),은 갇혀있는 상황이다
'역학이야기 > 육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체<課體> 및 격국<格局>의 종합. (0) | 2013.10.22 |
---|---|
六壬學의 秘傳 <육임학의 비전> (0) | 2013.10.22 |
육임학의 기초 (0) | 2013.10.22 |
육임궁합보는법 (1) | 2013.10.22 |
육임포국법 (0) | 2013.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