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주팔자(四柱八字)는 어떻게 정하는가?
전문에서 말했듯이 그 사람의 운명이 여하한가를 풀이할 수 있는
재료는 본 명리학에서는 오직 주인공으 생년월일시에 해당하는 사
주의 간지(干支)다. 그러므로 사주의 간지를 정확히 알아야 하는바
법식을 아는 이는 매우 간단하나 육갑법에 서툰 사람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이에 대한 우너칙을 상세히 기술한다.
◉ 연주 정하는 법
연주(年柱)란 생년의 간지(干支)다. 이를 술어(述語)로 태세(太歲)
라 하는데 몇 년도 출생인은 무슨 띠 무슨 띠에 해당한다가 아닌
예를 들어 甲子生이니 乙丑生이니 하는 것을 아는 방법이다.
만세력(萬歲曆)이나 연령대조표를 보면 서기 연도나 나이를 찾아
무슨 생인가를 알 수 있으므로 얼핏 생각하면 연주 정하기가 매우
쉽고 간단하다. 그러나 음력 기준 12월 10일 이후 출생인가 1월
20일 이전으 출생한 사람에 한해서는 당년의 간지 그대로 쓸수
있는 수도 있고, 다음해 또는 전년도의 간지로 기록해야 되는 수가
있어 이에 대한 원칙을 알아야 한다.
원칙이란 태세(太歲-年의 干支)가 교체되는 기준은 입춘(立春)이다.
즉 비록 연말 12월 출생이라 할지라도 입춘일이 지난 뒤가 생일이면
다음해 연도에 해당하는 태세(년의 간지-이하 동일)로 적용 기록해야
하고, 비록 날짜상으로 새해가 지난 1월 1일 이후의 출생인이라
할지라도 아직 입춘전의 아직 입춘전의 생일이면 새해의 태세가 아닌
전년도의 태세를 적용 기록해야 한다. 때문에 12월생과 1월생에
한해서는 반드시 입춘이 12월중에 들었는가 아니면 1월중에 들었는
가를 찾아 이상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 그리고 생일이 입춘일과 같은
날이면 출생한 시간과 입춘이 드는 시간을 대조 출생한 시간이 입춘
전 시간인가, 입춘 후 시간인가에 의해 새해 태세 또는 전년도 태세를
결정해야 한다. 이에 대한 몇가지 예를 아래에 들어본다.
생일: 음력 1993년 1월 8일
입춘: 음력 1993년 1월 13일
음력 1993년 1월1일부터 癸酉년이다. 그러나 입춘이 지나야 새해 태세를
적용하는 법식에 의하여 전년도 태세인 壬申년으로 干支를 기록해야 한다.
즉 음력 1993년 1월 13일 오전 4시 36분 59초 이전 출생인은 모두 입춘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전년도 태세인 壬申으로 정하고, 음력1993년1월13일
오전 4시 37분부터 비로소 새해 태세(당년태세)인 癸酉로 정해야 한다.
생일: 음력 1993년 12월 25일
입춘: 음력 1993년 12월 24일
이 예는 생일이 비록 아직 새해가 시작되지 않은 12월에 해당하나 입춘이
지나면 새해의 태세로 쓰는 원칙에 의하여 다음해(1994년) 태세인 甲戌로
생년간지가 결정된다. 즉 1993년 12월 24일 오전 9시 이전 출생인은 그냥
당년(1993년) 태세인 癸酉로 생년간지를 정하고, 1993년 12월 24일 오전
9시가 지나 출생한 사람은 다음해(새해) 태세인 甲戌로 생년간지를 정해야
한다. 때문에 생년간지를 癸酉로 정할수 있는 기간은 음력1993년 1월13일
오전4시 37분부터 동년 12월 24일 오전 9시 이전에 해당한다.
입춘일시(立春日時) 전은 전년도 태세(干支)
입춘일시(立春日時) 후는 신년도 태세(干支)